010 NEWS
A Transcendental
Space Invoked by
Korean Hanji Paper
한지로 불러낸
초월적 공간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세계를 주관한다
고 믿는 시대가 있었다. 그 시대엔 이승과 저
승이 구별되었고, 현실 너머의 존재를 불러
내는 의식이 일상에서 벌어지곤 했다. 이러
한 제의는 고유한 영역 안에서 진행됐는데,
종이 꽃과 인형, 부적 등은 이 존재들을 호출
하고 이들이 머무는 영역을 마련하는 도구로
사용됐었다. 단단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들
로 구축된 현재에는 낯설고 생경한 활동, 물
건들이다.
6월 5일부터 7월 25일까지 서울 성동구 우
란문화재단에서 열린 <신물지>는 잊힌 한지
무구들을 조명하는 전시다. 한지로 제작된
신성한 물건 ‘신물지’들을 통해 “근대화 과정
에서 탈락되고 지워진 전통적 세계관을 살
펴”보고 “한지가 신물로서 세계관을 어떻게
확장해왔는지를 현대적 시각에서 선보이려”
고 했다.
붉은 벽면으로 된 전시장에는 전통 의례를 수
행하는 장인들과 설치·회화 등 현대 작가들의
작업들이 배치됐다. 우선 하얀 종이 무구들이
벽 가장자리와 네 방위에 놓여 전시 공간의 틀
을 잡았다. 바람에 살랑거리는 얇은 한지 장막
‘설위설경’은 귀신의 침입을 막고 이들을 잡아
가두는 도구로 충청남도의 ‘앉은굿’에서 사용
된다. 동식물과 인물 형상, 복잡한 기하학적
문양이 가득 새겨져 ‘종이 그물’처럼 보이는
데, 제작 과정이 복잡다단하다. 전지 두 장을
이어 붙이고 양면이 꼭 맞도록 접은 뒤 칼로 일
일이 문양을 오려내는 식이다. ‘설위설경’들
은 제단처럼 구성된 전시장의 가장자리에서
기묘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귀신을 잡는 ‘설위설경’과 달리 ‘기메’는 신과
인간을 잇는 자리를 마련하는 도구다. 제주 굿
에서 주로 사용되며 사람 모양에서부터 깃발,
꽃 등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다. 이번 전시에서
는 하얀 아크릴로 된 의자 모양의 기단에 놓이
거나 전시장 벽면에 조심스럽게 설치됐다. 신
을 모신다는 의미를 살리면서 오브제처럼 감
신물지
우란문화재단
한지 무구
There was a time in which one believed
that invisible beings governed the world:
the world and the next world were con-
sidered separate, and rituals took place
in daily life, calling for recognition of an
existence beyond present reality. A rite
was made within its own sphere, in which
paper flowers, dolls, amulets, a sacred
spiritual items invoked the other or
supernatural beings and asked them stay
in designated realms. In the modern era,
built with hard reinforced concrete struc-
tures, these activities and objects are no
longer familiar.
‘Shinmulji’, held from July 5 to 25 at the
Uran Cultural Foundation in Seongdong-
gu, Seoul, is an exhibition intending to
shed light on the forgotten shamanistic
ceremonial tools. Through ‘Shinmulji’
a sacred object made of hanji (Korean
paper), the exhibition scrutinises the
traditional worldview that was eliminated
and eras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
tion, to present a modern perspective on
how hanji has expanded its world view to
become a new object.
In the exhibition hall of red walls, works by
artisans performing traditional ceremo-
nies and contemporary artists have been
arranged. First, white ritual paper tools
have been placed at the edges of the wall
and on all four sides to frame the exhibi-
tion space. The thin hanji tent Seolwi
Seolgyeong, fluttering in the wind, is used
in an exorcism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preventing the entry of ghosts
and keeping them captive. It is full of
plants and animals, character shapes,
and intricate geometric patterns, making
it look like a ‘paper net’ of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two whole sheets
of paper have been attached, folded to
fit the two sides, and cut each pattern
with a knife. These sacred papers form a
strange atmosphere at the edge of the
exhibition hall.
Unlike Seolwi Seolgyeong, which cap-
tures ghosts, Gime is a tool for meditation
to establish a place that connects gods
and humans. It is used mostly at Jeju Gut
and ranges in form and type from human
shapes to flags and flowers. In the exhibi-
tion, the objects were placed on a chair-
shaped platform in white acrylic or care-
ful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gallery. It
allows people to appreciate these items
like objects while preserving the meaning
of worship.
Contemporary artists have carefully
intervened in this realm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eremonial tools, reveal-
ing the potency of their meanings and
attempting to reinterpret their traditions.
Lee Yujia’s Wahae-gyeong-Floating
Shadows features a video of the crafts-
man’s production processes and the
traditional rituals they perform. Lee
Inan’s oral installation works examine the
omitted and missing values in modern
historical description, while Kim Beom
interprets the crafting techniques used in
hanji shamanistic tools, such as Blooming
and Withering and A Random Life, which
are made by folding up a piece of paper
or attaching tiles.
by Lee Sungje
상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 작가들은 무구들의 영역에 조심스럽게
개입하며 이들의 의미를 밝히고 전통의 재해
석을 시도했다. 이유지아의 ‘와해경-떠다니
는 그림자’는 장인들의 제작 과정과 이들이 행
하는 전통 의례 등을 영상으로 보여줬다. 이이
난은 근대적 역사기술에서 탈락되고 누락된
가치들을 구술 형식의 설치 작품으로 살피며,
김범은 종이를 접어 오리거나 타일을 붙여 만
든 ‘피어남과 시듦’, ‘무작위 인생’ 등으로 한지
무구의 제작 기법을 해석했다.
이성제 기자
<신물지> 전시 전경
Exhibition views of ‘Shinmulji’
Images courtesy of Wooran Foundation
010 NEWS
ATranscendental
SpaceInvokedby
KoreanHanjiPaper
한지로불러낸
초월적공간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세계를 주관한다
고 믿는 시대가 있었다. 그 시대엔 이승과 저
승이 구별되었고, 현실 너머의 존재를 불러
내는 의식이 일상에서 벌어지곤 했다. 이러
한 제의는 고유한 영역 안에서 진행됐는데,
종이 꽃과 인형, 부적 등은 이 존재들을 호출
하고 이들이 머무는 영역을 마련하는 도구로
사용됐었다. 단단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들
로 구축된 현재에는 낯설고 생경한 활동, 물
건들이다.
6월 5일부터 7월 25일까지 서울 성동구 우
란문화재단에서 열린 <신물지>는 잊힌 한지
무구들을 조명하는 전시다. 한지로 제작된
신성한 물건 ‘신물지’들을 통해 “근대화 과정
에서 탈락되고 지워진 전통적 세계관을 살
펴”보고 “한지가 신물로서 세계관을 어떻게
확장해왔는지를 현대적 시각에서 선보이려”
고 했다.
붉은 벽면으로 된 전시장에는 전통 의례를 수
행하는 장인들과 설치·회화 등 현대 작가들의
작업들이 배치됐다. 우선 하얀 종이 무구들이
벽가장자리와네방위에놓여전시공간의틀
을잡았다.바람에살랑거리는얇은한지장막
‘설위설경’은귀신의침입을막고이들을잡아
가두는 도구로 충청남도의‘앉은굿’에서사용
된다. 동식물과 인물 형상, 복잡한 기하학적
문양이 가득 새겨져 ‘종이 그물’처럼 보이는
데, 제작 과정이 복잡다단하다. 전지 두 장을
이어붙이고양면이꼭맞도록접은뒤칼로일
일이 문양을 오려내는 식이다. ‘설위설경’들
은 제단처럼 구성된 전시장의 가장자리에서
기묘한분위기를형성한다.
귀신을 잡는 ‘설위설경’과 달리 ‘기메’는 신과
인간을잇는자리를마련하는도구다.제주굿
에서 주로 사용되며 사람 모양에서부터 깃발,
꽃등형태와종류가다양하다.이번전시에서
는하얀아크릴로된의자모양의기단에놓이
거나 전시장 벽면에 조심스럽게 설치됐다. 신
을 모신다는 의미를 살리면서 오브제처럼 감
신물지
우란문화재단
한지 무구
There was a time in which one believed
that invisible beings governed the world:
the world and the next world were con-
sidered separate, and rituals took place
in daily life, calling for recognition of an
existence beyond present reality. A rite
was made within its own sphere, in which
paper flowers, dolls, amulets, a sacred
spiritual items invoked the other or
supernatural beings and asked them stay
in designated realms. In the modern era,
built with hard reinforced concrete struc-
tures, these activities and objects are no
longer familiar.
‘Shinmulji’, held from July 5 to 25 at the
Uran Cultural Foundation in Seongdong-
gu, Seoul, is an exhibition intending to
shed light on the forgotten shamanistic
ceremonial tools. Through ‘Shinmulji’
a sacred object made of hanji (Korean
paper), the exhibition scrutinises the
traditional worldview that was eliminated
and eras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
tion, to present a modern perspective on
how hanji has expanded its world view to
become a new object.
In the exhibition hall of red walls, works by
artisans performing traditional ceremo-
nies and contemporary artists have been
arranged. First, white ritual paper tools
have been placed at the edges of the wall
and on all four sides to frame the exhibi-
tion space. The thin hanji tent Seolwi
Seolgyeong, fluttering in the wind, is used
in an exorcism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preventing the entry of ghosts
and keeping them captive. It is full of
plants and animals, character shapes,
and intricate geometric patterns, making
it look like a ‘paper net’ of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two whole sheets
of paper have been attached, folded to
fit the two sides, and cut each pattern
with a knife. These sacred papers form a
strange atmosphere at the edge of the
exhibition hall.
Unlike Seolwi Seolgyeong, which cap-
tures ghosts, Gime is a tool for meditation
to establish a place that connects gods
and humans. It is used mostly at Jeju Gut
and ranges in form and type from human
shapes to flags and flowers. In the exhibi-
tion, the objects were placed on a chair-
shaped platform in white acrylic or care-
ful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gallery. It
allows people to appreciate these items
like objects while preserving the meaning
of worship.
Contemporary artists have carefully
intervened in this realm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ceremonial tools, reveal-
ing the potency of their meanings and
attempting to reinterpret their traditions.
Lee Yujia’s Wahae-gyeong-Floating
Shadows features a video of the crafts-
man’s production processes and the
traditional rituals they perform. Lee
Inan’s oral installation works examine the
omitted and missing values in modern
historical description, while Kim Beom
interprets the crafting techniques used in
hanji shamanistic tools, such as Blooming
and Withering and A Random Life, which
are made by folding up a piece of paper
or attaching tiles.
by Lee Sungje
상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 작가들은 무구들의 영역에 조심스럽게
개입하며 이들의 의미를 밝히고 전통의 재해
석을 시도했다. 이유지아의 ‘와해경-떠다니
는 그림자’는 장인들의 제작 과정과 이들이 행
하는 전통 의례 등을 영상으로 보여줬다. 이이
난은 근대적 역사기술에서 탈락되고 누락된
가치들을 구술 형식의 설치 작품으로 살피며,
김범은 종이를 접어 오리거나 타일을 붙여 만
든 ‘피어남과 시듦’, ‘무작위 인생’ 등으로 한지
무구의 제작 기법을 해석했다.
이성제 기자
<신물지> 전시 전경
Exhibition views of ‘Shinmulji’
Images courtesy of Wooran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