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 08.2019

(singke) #1
020 NEWS

서울형 도시재생의
현재와 미래

Image
courtesy
of KURA

서울형 도시재생 성과과 향후과제 행사 전경
View of Seoul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and
Prospect

The Present and
Future of Seoul
Urban Regeneration

2011년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후 서울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이 개발에서 보존으로 전환
된 가운데, 서울형 도시재생의 성과를 되짚어
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자리가 마
련됐다. 7월 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서울특별시 주최, 한국도시재생
학회 주관으로 주제발표와 집단토론회로 구
성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로 이명훈(한국도시재생
학회 회장)이 ‘도시재생의 세계적 흐름’에 대
해 발표했다. “세계 각국의 대도시들과 마찬
가지로 서울 또한 4차산업혁명과 혁신경제
를 바탕에 두고 일자리, 문화, 건강 등을 주
요 주제로 삼아 도시재생의 큰 그림을 그려
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김이탁(국토교통
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 단장)은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주제로 도시재생과 관련한 생활
SOC, 스마트시티, 신재생에너지, 문화재생
사례를 소개했다. 다음으로 양용택(서울시
재생정책기획관)이 서울형 도시재생의 지
난 8년간의 성과를 요약했다. 164개소의 재
생사업을 통해 방치되고 낙후된 상태로 남아
있던 도시 공간이 “산업 공간으로, 혁신성장
동력의 거점으로, 지역의 명소와 특성 있는
주거지로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단순한 공간 개선을 넘어 시민들의 체감도
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세부 계획을 조
정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으로 집단토론회가 이어졌다. 우선, 박영
신(한국경제신문 기자)이 앞선 주제발표에
공감하며 “도시재생의 시민 체감은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재개발, 재건축
이 필요한 지역에도 보존과 재생이 해결책으
로 사용되고 있다”며 도시재생의 남용을 문제
삼았다. 신정호(서울시의회 도시계획관리위
원회 위원) 또한 “도시관리는 투 트랙으로 가
야 한다”며 “재건축과 재개발이 필요한 지역
에 재생사업이 진행되면 사업비가 매몰비용
으로 전락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산 편성

도시재생 토론회
도시정책
시민 체감도 증진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organised an event that would review
the results of Seoul Urban Regeneration
and to reestablish its future directions.
Hosted by the SMG and organised by
Korea Urban Regeneration Association
(KURA), it took place at the Korea Press
Center on July 5.
Lee Myeonghun (president, KURA) gave
the first presentation on the ‘Glob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He argued that
‘Like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Seoul
requires a bigger picture concerning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 innova-
tive economy, with key themes of jobs,
culture, and health’. Then, Kim Leetak
(lead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roduced the Living
SOC, Smart City, renewable energy
and culture regeneration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under the them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Next,
Yang Yongtaek (policy planner, SMG)
summarised the result of eight years of
Seoul Urban Regeneration. He noted
that neglected and underdeveloped
urban space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ustrial space, bases of innovation
growth power, and local attractions and
characteristic residential areas’, through
164 regeneration projects. He also said
that ‘beyond the improvement of space, a
detailed plan is being modified to improve
citizen’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he presentations were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First, Park Youngshin
(editor, The Korea Economic Daily),
insisted upon ‘the issue of citizens’ expe-

또한 획일적이어선 안 되며, 지역적 특성과 시
민참여에 따라 사업 비용 및 사업 진행 기간을
유연하게 측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이용건(서울주택도시공사 도시재
생본부장)은 “직주 근접이 가능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서울 곳곳에 분포된 빈집과 낙후
지역을 주거지로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
했다. 장남종(서울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
장)은 “성장시대에 처음 대두된 도시재생의
의미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지”를 물으
며 “도시재생의 중심을 사람에게 맞춰야 한
다”고 했다. 이제선(연세대학교 교수)도 앞선
주장에 동의하며 “현재의 도시재생 사업은 어
떤 세대를 위한 것인지, 미래세대에 대한 고민
은 있는지”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
가 “도시재생 사업을 전담하는 전문기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은화 기자

rience of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improved’, expressing his sympathy with
the previous theme. He added that ‘con-
servation and regeneration are applied as
solutions to areas which should be rede-
veloped and reconstructed’. ‘Urban man-
agement requires a two-track approach’,
pointed out Shin Jungho (lawmaker,
Seoul Metropolitan Council), ‘When the
regeneration is carried out in areas that
need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the project budget is wasted as sunk
costs’. He claimed that ‘budgeting should
not be uniform, and the estimate of the
costs and duration of the project should
be flexible, in order to reflect local char-
acteristics and citizen participation’.
Lee Yonggeon (director,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suggested,
‘Let’s use vacant houses scattered all
over Seoul and the underdeveloped
areas as residential areas to make Seoul
a city of job-housing proximity’. Jang
Namjong (director, The Seoul Institute
Urban Regeneration Center) asked,
‘Is the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which first appeared in the age of growth
still valid today?’, and said, ‘Now,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human-oriented’.
Agreeing with the previous argument,
Lee Jeasun (professor, Yonsei University)
stressed the importance of reconsider-
ing ‘Which generation is the target of the
pres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whether we have concerns about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he insisted
on the need for a ‘specialised institution
dedicat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Choi Eunhwa

020 NEWS

서울형도시재생의


현재와미래


ImagecourtesyofKURA

서울형 도시재생 성과과 향후과제 행사 전경
View of Seoul Urban Regeneration: Evaluation and
Prospect


The Present and


Future of Seoul


Urban Regeneration


2011년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후 서울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이 개발에서 보존으로 전환
된 가운데, 서울형 도시재생의 성과를 되짚어
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자리가 마
련됐다. 7월 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서울특별시 주최, 한국도시재생
학회 주관으로 주제발표와 집단토론회로 구
성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로 이명훈(한국도시재생
학회 회장)이 ‘도시재생의 세계적 흐름’에 대
해 발표했다. “세계 각국의 대도시들과 마찬
가지로 서울 또한 4차산업혁명과 혁신경제
를 바탕에 두고 일자리, 문화, 건강 등을 주
요 주제로 삼아 도시재생의 큰 그림을 그려
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김이탁(국토교통
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 단장)은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주제로 도시재생과 관련한 생활
SOC, 스마트시티, 신재생에너지, 문화재생
사례를 소개했다. 다음으로 양용택(서울시
재생정책기획관)이 서울형 도시재생의 지
난 8년간의 성과를 요약했다. 164개소의 재
생사업을 통해 방치되고 낙후된 상태로 남아
있던 도시 공간이 “산업 공간으로, 혁신성장
동력의 거점으로, 지역의 명소와 특성 있는
주거지로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단순한 공간 개선을 넘어 시민들의 체감도
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세부 계획을 조
정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으로 집단토론회가 이어졌다. 우선, 박영
신(한국경제신문 기자)이 앞선 주제발표에
공감하며 “도시재생의 시민 체감은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재개발, 재건축
이 필요한 지역에도 보존과 재생이 해결책으
로 사용되고 있다”며 도시재생의 남용을 문제
삼았다. 신정호(서울시의회 도시계획관리위
원회 위원) 또한 “도시관리는 투 트랙으로 가
야 한다”며 “재건축과 재개발이 필요한 지역
에 재생사업이 진행되면 사업비가 매몰비용
으로 전락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산 편성

도시재생 토론회
도시정책
시민 체감도 증진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organised an event that would review
the results of Seoul Urban Regeneration
and to reestablish its future directions.
Hosted by the SMG and organised by
Korea Urban Regeneration Association
(KURA), it took place at the Korea Press
Center on July 5.
Lee Myeonghun (president, KURA) gave
the first presentation on the ‘Glob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He argued that
‘Like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Seoul
requires a bigger picture concerning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 innova-
tive economy, with key themes of jobs,
culture, and health’. Then, Kim Leetak
(lead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roduced the Living
SOC, Smart City, renewable energy
and culture regeneration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under the them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Next,
Yang Yongtaek (policy planner, SMG)
summarised the result of eight years of
Seoul Urban Regeneration. He noted
that neglected and underdeveloped
urban space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ustrial space, bases of innovation
growth power, and local attractions and
characteristic residential areas’, through
164 regeneration projects. He also said
that ‘beyond the improvement of space, a
detailed plan is being modified to improve
citizen’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he presentations were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First, Park Youngshin
(editor, The Korea Economic Daily),
insisted upon ‘the issue of citizens’ expe-

또한 획일적이어선 안 되며, 지역적 특성과 시
민참여에 따라 사업 비용 및 사업 진행 기간을
유연하게 측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이용건(서울주택도시공사 도시재
생본부장)은 “직주 근접이 가능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서울 곳곳에 분포된 빈집과 낙후
지역을 주거지로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
했다. 장남종(서울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
장)은 “성장시대에 처음 대두된 도시재생의
의미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지”를 물으
며 “도시재생의 중심을 사람에게 맞춰야 한
다”고 했다. 이제선(연세대학교 교수)도 앞선
주장에 동의하며 “현재의 도시재생 사업은 어
떤 세대를 위한 것인지, 미래세대에 대한 고민
은 있는지”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
가 “도시재생 사업을 전담하는 전문기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은화 기자

rience of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improved’, expressing his sympathy with
the previous theme. He added that ‘con-
servation and regeneration are applied as
solutions to areas which should be rede-
veloped and reconstructed’. ‘Urban man-
agement requires a two-track approach’,
pointed out Shin Jungho (lawmaker,
Seoul Metropolitan Council), ‘When the
regeneration is carried out in areas that
need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the project budget is wasted as sunk
costs’. He claimed that ‘budgeting should
not be uniform, and the estimate of the
costs and duration of the project should
be flexible, in order to reflect local char-
acteristics and citizen participation’.
Lee Yonggeon (director,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suggested,
‘Let’s use vacant houses scattered all
over Seoul and the underdeveloped
areas as residential areas to make Seoul
a city of job-housing proximity’. Jang
Namjong (director, The Seoul Institute
Urban Regeneration Center) asked,
‘Is the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which first appeared in the age of growth
still valid today?’, and said, ‘Now,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human-oriented’.
Agreeing with the previous argument,
Lee Jeasun (professor, Yonsei University)
stressed the importance of reconsider-
ing ‘Which generation is the target of the
pres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whether we have concerns about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he insisted
on the need for a ‘specialised institution
dedicat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Choi Eunhwa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