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6 NEWS
수행자 박서보의 시간 한국 단색화의 대표 화가 박서보의 전시 <박서보-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가 지난 5월 18
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고
있다. 회고전 형식인 이 전시는 초기작부터
2019년 제작된 신작까지 160여 점을 선보이
며, 약 70년에 걸친 그의 작업을 총망라한다.
전시는 다섯 시기로 구분되어 그의 작업 세계
를 조망한다. 한국 앵포르멜 회화의 대표작인
‘원형질’ 시기, 1960년대 후반 옵아트, 팝아
트를 수용하며 기하학적 추상과 한국 전통 색
감을 사용한 ‘유전질’ 시리즈와 ‘허상’ 시리즈
를 함께 볼 수 있는 ‘유전질’ 시기, 연필로 수없
이 선긋기를 반복한 1970년대 ‘초기 묘법 시
기’, 한지를 발라 마르기 전에 문지르거나 긁
고 밀어 붙이는 등 행위를 반복해 지그재그 묘
법이라고도 불리는 ‘중기 묘법’ 시기, 1990년
대 중반 손의 흔적을 없애고 막대기나 자와 같
은 도구를 이용하기 시작한 색채 묘법이라 불
리는 ‘후기 묘법’ 시기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최근 시기인 후기 묘
법 시기의 작품부터 감상하게 되는데, ‘묘법’
시리즈의 깊고 풍성한 색감이 제 1전시실 천
장으로 들어오는 은은한 자연광과 함께 관
객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2019년 신작 ‘묘법’ 두 점이 최초 공개됐다.
이어 중기 묘법, 초기 묘법, 유전질의 시기를
역행해 마침내 원형질의 시기에 다다르면 한
국 최초의 앵포르멜 작품 ‘회화 No.1’을 만날
수 있다. 구체적인 형태를 찾아볼 수 없는 이
작품은 대량학살과 집단폭력으로 인한 희생,
부조리 등 당대의 불안과 고독을 분출한 작업
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렇게 70여 년 동안 지난한 과정의 묘법을
지속해온 그의 작업을 보고 나면, 수행자로서
의 박서보가 화가 박서보를 만들어왔다는 데
동의하게 된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박서보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국제학술행
사가 5월 31일 열렸고, 7월 5일에는 작가와의
The Time of the
Endeavourer:
Park Seo-Bo
박서보 -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국립현대미술관
묘법
‘PARK SEO-BO: The Untiring
Endeavourer’, an exhibition of the repre-
sentative artist of Korean monochrome
(dansaekhwa) paintings, has been on
show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since May 18. The exhibition, in the form
of a retrospective, showcases 160 pieces
ranging from the artist’s early works
to new ones made in 2019, covering a
career spanning about 70 years.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and
offers a panoramic view of his work: his
Primodalis period, with the representa-
tive works of Korean informel painting;
his Hereditarius period of the late 1960s,
which saw him drawing on aspects of
geometric abstraction and pop art while
employing his unique colour sense, as
demonstrated by both the Hereditarius
series and Illusion series; his early-ecri-
ture of the 1970s, which saw his repeated
line drawing sequences; his mid-ecriture
period, in which he rediscovered tradi-
tional Hanji paper and colour through the
repeated rubbing and scratching of hanji;
and his late-ecriture period of the late
1990s evidenced by eschewing the hand
and using tools such as sticks and rulers.
When one enters the exhibition hall, one
enjoys his most recent work, from the
late-ecriture period. The deep, vibrant
colours of the Écriture series catch the
eye through the subtle natural light that
emanates from ceiling of gallery one. In
particular, two new works from the 2019
iterations of Écriture were unveil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When one
passes through the mid-ecriture, the
early-ecriture, the Hereditarious period,
and finally the Primordialis period in this
reverse chronological order, then one is
witness to Korea’s first informel piece,
Painting No.1. The piece, which has no
concrete form, is considered to vent the
anxiety and solitude of the time, decrying
the sacrifices made and absurdity of the
mass violence and massacres suffered in
the period.
After observing his work, flowing across
almost 70 years, one may come to agree
with the general consensus that Park
Seo-Bo as venturer has made the artist
Park Seo-Bo possible.
As part of the exhibition-linked program-
ming,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
ence was held on May 31, with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shedding light on
the world of Park’s work, enhanced by
talks made by the artist on July 5 and
the curator on July 19. These events also
introduced the artist’s other associated
identities as a critic, administrator and
educator. In August last year, Park Seo-
Bo GIZI, an art base, was also set up in
Yeonhui-dong according to the design
of Byoungsoo Cho (principal, BCHO
Architects Associates). The exhibition will
be open until Sep. 1.
by Park Semi
대화가, 7월 19일에는 큐레이터 토크가 진행
됐다. 전시와 함께 진행된 이러한 행사들을 통
해 화가 박서보의 평론가, 행정가, 교육자로
서의 면모도 소개됐다. 지난해 8월 조병수(조
병수건축연구소 대표)의 설계로 박서보 ‘기
지’가 연희동에 마련되기도 했다. 전시는 9월
1일까지.
박세미 기자
(왼쪽) <박서보 -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전시 전경
(오른쪽) 박서보, 묘법(描法), 르몽드 지에 연필과
유채, 33.5×50cm, 1977
(left) Exhibition view of ‘PARK SEO-BO: The
Untiring Endeavourer’
(right) Park Seo-Bo, Écriture No.01-77, Pencil and
oil on Le Monde, 1977
Image courtesy of MMCA ©Park Seo-Bo
006 NEWS
수행자 박서보의 시간 한국 단색화의 대표 화가 박서보의 전시 <박서보-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가 지난 5월 18
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고
있다. 회고전 형식인 이 전시는 초기작부터
2019년 제작된 신작까지 160여 점을 선보이
며, 약 70년에 걸친 그의 작업을 총망라한다.
전시는 다섯 시기로 구분되어 그의 작업 세계
를 조망한다. 한국 앵포르멜 회화의 대표작인
‘원형질’ 시기, 1960년대 후반 옵아트, 팝아
트를 수용하며 기하학적 추상과 한국 전통 색
감을 사용한 ‘유전질’ 시리즈와 ‘허상’ 시리즈
를 함께 볼 수 있는 ‘유전질’ 시기, 연필로 수없
이 선긋기를 반복한 1970년대 ‘초기 묘법 시
기’, 한지를 발라 마르기 전에 문지르거나 긁
고 밀어 붙이는 등 행위를 반복해 지그재그 묘
법이라고도 불리는 ‘중기 묘법’ 시기, 1990년
대 중반 손의 흔적을 없애고 막대기나 자와 같
은 도구를 이용하기 시작한 색채 묘법이라 불
리는 ‘후기 묘법’ 시기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최근 시기인 후기 묘
법 시기의 작품부터 감상하게 되는데, ‘묘법’
시리즈의 깊고 풍성한 색감이 제 1전시실 천
장으로 들어오는 은은한 자연광과 함께 관
객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2019년 신작 ‘묘법’ 두 점이 최초 공개됐다.
이어 중기 묘법, 초기 묘법, 유전질의 시기를
역행해 마침내 원형질의 시기에 다다르면 한
국 최초의 앵포르멜 작품 ‘회화 No.1’을 만날
수 있다. 구체적인 형태를 찾아볼 수 없는 이
작품은 대량학살과 집단폭력으로 인한 희생,
부조리 등 당대의 불안과 고독을 분출한 작업
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렇게 70여 년 동안 지난한 과정의 묘법을
지속해온 그의 작업을 보고 나면, 수행자로서
의 박서보가 화가 박서보를 만들어왔다는 데
동의하게 된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박서보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국제학술행
사가 5월 31일 열렸고, 7월 5일에는 작가와의
The Time of the
Endeavourer:
Park Seo-Bo
박서보 -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국립현대미술관
묘법
‘PARK SEO-BO: The Untiring
Endeavourer’, an exhibition of the repre-
sentative artist of Korean monochrome
(dansaekhwa) paintings, has been on
show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since May 18. The exhibition, in the form
of a retrospective, showcases 160 pieces
ranging from the artist’s early works
to new ones made in 2019, covering a
career spanning about 70 years.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and
offers a panoramic view of his work: his
Primodalis period, with the representa-
tive works of Korean informel painting;
his Hereditarius period of the late 1960s,
which saw him drawing on aspects of
geometric abstraction and pop art while
employing his unique colour sense, as
demonstrated by both the Hereditarius
series and Illusion series; his early-ecri-
ture of the 1970s, which saw his repeated
line drawing sequences; his mid-ecriture
period, in which he rediscovered tradi-
tional Hanji paper and colour through the
repeated rubbing and scratching of hanji;
and his late-ecriture period of the late
1990s evidenced by eschewing the hand
and using tools such as sticks and rulers.
When one enters the exhibition hall, one
enjoys his most recent work, from the
late-ecriture period. The deep, vibrant
colours of the Écriture series catch the
eye through the subtle natural light that
emanates from ceiling of gallery one. In
particular, two new works from the 2019
iterations of Écriture were unveil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When one
passes through the mid-ecriture, the
early-ecriture, the Hereditarious period,
and finally the Primordialis period in this
reverse chronological order, then one is
witness to Korea’s first informel piece,
Painting No.1. The piece, which has no
concrete form, is considered to vent the
anxiety and solitude of the time, decrying
the sacrifices made and absurdity of the
mass violence and massacres suffered in
the period.
After observing his work, flowing across
almost 70 years, one may come to agree
with the general consensus that Park
Seo-Bo as venturer has made the artist
Park Seo-Bo possible.
As part of the exhibition-linked program-
ming,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
ence was held on May 31, with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shedding light on
the world of Park’s work, enhanced by
talks made by the artist on July 5 and
the curator on July 19. These events also
introduced the artist’s other associated
identities as a critic, administrator and
educator. In August last year, Park Seo-
Bo GIZI, an art base, was also set up in
Yeonhui-dong according to the design
of Byoungsoo Cho (principal, BCHO
Architects Associates). The exhibition will
be open until Sep. 1.
by Park Semi
대화가, 7월 19일에는 큐레이터 토크가 진행
됐다. 전시와 함께 진행된 이러한 행사들을 통
해 화가 박서보의 평론가, 행정가, 교육자로
서의 면모도 소개됐다. 지난해 8월 조병수(조
병수건축연구소 대표)의 설계로 박서보 ‘기
지’가 연희동에 마련되기도 했다. 전시는 9월
1일까지.
박세미 기자
(왼쪽) <박서보 -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전시 전경
(오른쪽) 박서보, 묘법(描法), 르몽드 지에 연필과
유채, 33.5×50cm, 1977
(left) Exhibition view of ‘PARK SEO-BO: The
Untiring Endeavourer’
(right) Park Seo-Bo, Écriture No.01-77, Pencil and
oil on Le Monde, 1977
Image courtesy of MMCA ©Park Seo-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