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 August 2019

(Grace) #1
012 NEWS

Images

(^) courtesy
(^) of (^) Nam
(^) June
(^) Paik
(^) Art
(^) Center
The Suggestion of
Sense in Symbiosis
공생을 위한
감각의 제안
미국을 중심으로 히피 등 대항문화 운동이
활발하던 1970년대, 백남준은 미디어와 예
술에 대한 생각을 에세이 ‘글로벌 그루브와
비디오 공동시장’(1974)에서 풀어냈다. 그
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견해, 공유재로서의
미디어를 이야기한 뒤 생태학에 대한 논의
로 글을 마무리했다. “생태학은 정치가 아니
라 하나의 세계관, 경건한 세계에 대한 관념
이다. 그것은 세계의 기획, 전 지구적인 순환,
인간 행동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바
탕에 두고 있다. ‘너’ 아니면 ‘나’로부터 ‘너’와
‘나’로의 변화로.”
7월 5일부터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생태감각>은 “지구 생태계에 막강한 영향
력을 행사해온 인간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하
고 공생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감각을 제안”
하는 전시다. 유토피아를 꿈꾸던 40여 년 전
의 운동과 그 시기 백남준의 생각을 단초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고 지구에 사는
생명/비생명 존재들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
의 지위를 고찰한다.
전시는 ‘인간의 자연’과 ‘서식자’로, 두 부분
으로 구성됐다. 먼저 ‘인간의 자연’에서는 ‘인
간에 의해 확장·구성되는 자연’이라는 주제
아래 백남준의 ‘사과나무’와 ‘다윈’, 이소요의
‘TV정원: 주석’, 윤지영의 ‘에라’, 아네아스 톤
데의 ‘체르노빌 식물표본’ 등을 선보인다. 인
간과 자연의 관계를 고찰하는 작업들 중 이소
요의 ‘TV정원: 주석’은 생태계 개념에 대한 새
로운 인식을 유도한다. 작가는 백남준아트센
터 1층 로비에 설치된 백남준의 ‘TV정원’을
하나의 생태 현장으로 규정한 뒤 이곳의 생물
상을 조사·정리했다. 작품 자체가 세균·곰팡
이·버섯·곤충·식물·사람 등으로 구성된 실
제적 생태계임을 보여주며 작품을 현대적·
생태학적 관점으로 해석했다.
‘서식자’에서는 한정된 시스템으로서 지구에
대한 성찰과 지구에서 살아가는 서식자들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도시의 기록되지 않은 역
생태감각
백남준아트센터
인간의 지위
In the 1970s, when counter-cultural
movements such as the hippie revolution
were active across the U.S., Nam June
Paik published his thoughts on mass
media and art in his essay Global Grooves
and Video Common Market (1974).
After discussing his views on the media
environment and on media as common
goods, he concluded his critique with a
discussion of ecology: ‘Ecology is not
politics, but a worldview, a godly world. It
is based on the world’s planning, global
circ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human behaviour. From “you” or “me”
to “you” and “me”.’
‘Ecological Sense’ which opened at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on July 5, is an
exhibition that questions the extent to
which humans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 Earth’s ecosystem and suggests
a range of new approaches necessary
for co-prosperity. Contemplating the
movements of more than 40 years ago,
which dreamt of utopias, and Paik’s
ideas of that time as a starting point, the
show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examines the
human status in relation to living and non-
living beings on Earth.
The exhibition consists of two parts:
‘Nature of Man’ and ‘The Habitator’.
First, in the ‘Nature of Man’, Nam Joon
Paik’s Apple Tree and Darwin, Yi Soyo’s
TV Garden: Notes, Yoon Jiyoung’s
Juxtaposed and Anais Tondeur’s
Chernobyl Herbarium are all shown under
a sub-theme, ‘Nature Expanded and
Constructed by Man’. Of the works exam-
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Yi Soyo’s TV Garden: Notes
elicits a new awareness of the concept of
the ecosystem. The artist defined Paik’s
TV Garden, installed in the lobby of the
art centre, as an ecological event, and
examined and organised its biota. Lee
reinterpreted the work from a modern
and ecological perspective, revealed
how the work itself is a real ecosystem
consisting of germs, mould, mushrooms,
insects, plants, and people.
‘The Habitator’, offers insights into the
Earth as a ‘limited system’ and drama-
tises the voices of habitats found across
the planet. Listen to the City, which has
visualised the city’s unrecorded history
and lived experiences, captures the story
of the city’s ecosystem in Placelessness:
Naeseong River, Gureombi, and Okbaraji
Alley. Cho Eunji raises questions of the
senses, and of their symbiosis with life
on Earth, through Octopusy Ecstasy, her
exploratory work on octopi. Works includ-
ing Architecture of Mushroom, which
integrates the narration of 13 Korean
and foreign architects after a year of film-
ing mushrooms in Gotjawall, Jeju, and
A Library of Wisper and Slumber, made
from sounds collected from the habitats
of endangered plants and others, expand
our sense of imagined futures. The exhi-
bition will be on show until Sep. 22.
by editorial team
사와 존재들을 가시화해온 리슨투더시티는
‘장소상실: 내성천, 구럼비, 옥바라지 골목’에
서 도시 생태계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조은지
는 문어에 대한 탐구 작업 ‘문어적 황홀경’을
통해 지구 생명체들과 공생을 위한 감각이 무
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1년간 제주
곶자왈의 버섯을 촬영한 뒤 국내외 건축가 13
명의 내레이션과 결합한 ‘버섯의 건축’, 멸종
위기 식물의 서식처에서 채집한 소리들로 만
든 ‘속삭임과 잠의 도서관’ 등은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한다. 전시는 9월 22일까지.
편집부
(왼쪽) 박선민, ‘버섯의 건축’, 1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15분 18초, 2018
(오른쪽) 백남준, ‘사과나무’, 33대의 TV 모니터, 3채널
비디오, 410×280×110cm, 1995 / 대림문화재단 소장
(left) Park Sunmin, Architecture of Mushroom, 1
Channel video, color, sound, 15min 18sec, 2018
(right) Nam June Paik, Apple Tree, 33 TV monitors, 3
channel video, 410×280×110cm, 1995 / courtesy of
Daelim Cultural Foundation
012 NEWS
Images
courtesy
ofNam
June
Paik
ArtCenter
TheSuggestionof
SenseinSymbiosis
공생을위한
감각의제안
미국을중심으로히피 등 대항문화운동이
활발하던1970년대,백남준은미디어와예
술에 대한 생각을에세이‘글로벌그루브와
비디오공동시장’(1974)에서풀어냈다.그
는 미디어환경에대한 견해, 공유재로서의
미디어를이야기한뒤 생태학에대한 논의
로 글을 마무리했다.“생태학은정치가아니
라 하나의세계관,경건한세계에대한 관념
이다. 그것은세계의기획, 전지구적인순환,
인간 행동의변화 가능성에대한 믿음을바
탕에두고 있다. ‘너’ 아니면‘나’로부터‘너’와
‘나’로의변화로.”
7월 5일부터백남준아트센터에서열리는
<생태감각>은“지구생태계에막강한영향
력을 행사해온인간의권한에의문을제기하
고 공생을위해 필요한새로운감각을제안”
하는 전시다.유토피아를꿈꾸던40여 년 전
의 운동과그 시기 백남준의생각을단초로
인간과자연의관계를탐구하고지구에사는
생명/비생명존재들과의관계 속에서인간
의 지위를고찰한다.
전시는‘인간의자연’과‘서식자’로,두 부분
으로 구성됐다.먼저 ‘인간의자연’에서는‘인
간에 의해 확장·구성되는자연’이라는주제
아래 백남준의‘사과나무’와‘다윈’,이소요의
‘TV정원:주석’,윤지영의‘에라’,아네아스톤
데의 ‘체르노빌식물표본’등을 선보인다.인
간과 자연의관계를고찰하는작업들중 이소
요의 ‘TV정원:주석’은생태계개념에대한 새
로운 인식을유도한다.작가는백남준아트센
터 1층 로비에설치된백남준의‘TV정원’을
하나의생태 현장으로규정한뒤 이곳의생물
상을 조사·정리했다.작품 자체가세균·곰팡
이·버섯·곤충·식물·사람등으로구성된실
제적 생태계임을보여주며작품을현대적·
생태학적관점으로해석했다.
‘서식자’에서는한정된시스템으로서지구에
대한 성찰과지구에서살아가는서식자들의
목소리를들려준다.도시의기록되지않은 역
생태감각
백남준아트센터
인간의지위
In the 1970s, when counter-cultural
movements such as the hippie revolution
were active across the U.S., Nam June
Paik published his thoughts on mass
media and art in his essay Global Grooves
and Video Common Market (1974).
After discussing his views on the media
environment and on media as common
goods, he concluded his critique with a
discussion of ecology: ‘Ecology is not
politics, but a worldview, a godly world. It
is based on the world’s planning, global
circ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human behaviour. From “you” or “me”
to “you” and “me”.’
‘Ecological Sense’ which opened at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on July 5, is an
exhibition that questions the extent to
which humans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 Earth’s ecosystem and suggests
a range of new approaches necessary
for co-prosperity. Contemplating the
movements of more than 40 years ago,
which dreamt of utopias, and Paik’s
ideas of that time as a starting point, the
show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examines the
human status in relation to living and non-
living beings on Earth.
The exhibition consists of two parts:
‘Nature of Man’ and ‘The Habitator’.
First, in the ‘Nature of Man’, Nam Joon
Paik’s Apple Tree and Darwin, Yi Soyo’s
TV Garden: Notes, Yoon Jiyoung’s
Juxtaposed and Anais Tondeur’s
Chernobyl Herbarium are all shown under
a sub-theme, ‘Nature Expanded and
Constructed by Man’. Of the works exam-
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Yi Soyo’s TV Garden: Notes
elicits a new awareness of the concept of
the ecosystem. The artist defined Paik’s
TV Garden, installed in the lobby of the
art centre, as an ecological event, and
examined and organised its biota. Lee
reinterpreted the work from a modern
and ecological perspective, revealed
how the work itself is a real ecosystem
consisting of germs, mould, mushrooms,
insects, plants, and people.
‘The Habitator’, offers insights into the
Earth as a ‘limited system’ and drama-
tises the voices of habitats found across
the planet. Listen to the City, which has
visualised the city’s unrecorded history
and lived experiences, captures the story
of the city’s ecosystem in Placelessness:
Naeseong River, Gureombi, and Okbaraji
Alley. Cho Eunji raises questions of the
senses, and of their symbiosis with life
on Earth, through Octopusy Ecstasy, her
exploratory work on octopi. Works includ-
ing Architecture of Mushroom, which
integrates the narration of 13 Korean
and foreign architects after a year of film-
ing mushrooms in Gotjawall, Jeju, and
A Library of Wisper and Slumber, made
from sounds collected from the habitats
of endangered plants and others, expand
our sense of imagined futures. The exhi-
bition will be on show until Sep. 22.
by editorial team
사와 존재들을 가시화해온 리슨투더시티는
‘장소상실: 내성천, 구럼비, 옥바라지 골목’에
서 도시 생태계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조은지
는 문어에 대한 탐구 작업 ‘문어적 황홀경’을
통해 지구 생명체들과 공생을 위한 감각이 무
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1년간 제주
곶자왈의 버섯을 촬영한 뒤 국내외 건축가 13
명의 내레이션과 결합한 ‘버섯의 건축’, 멸종
위기 식물의 서식처에서 채집한 소리들로 만
든 ‘속삭임과 잠의 도서관’ 등은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한다. 전시는 9월 22일까지.
편집부
(왼쪽) 박선민, ‘버섯의 건축’, 1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15분 18초, 2018
(오른쪽) 백남준, ‘사과나무’, 33대의 TV 모니터, 3채널
비디오, 410×280×110cm, 1995 / 대림문화재단 소장
(left) Park Sunmin, Architecture of Mushroom, 1
Channel video, color, sound, 15min 18sec, 2018
(right) Nam June Paik, Apple Tree, 33 TV monitors, 3
channel video, 410×280×110cm, 1995 / courtesy of
Daelim Cultural Foundation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