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 August 2019

(Grace) #1
026

The Crossing of
Aesthetic Lines of
Sight

Filling in the
Unfinished Blanks

미학적 시선의 교차


미완의 여백을
채워가다

7월 4일부터 28일까지 인천아트플랫폼에서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9’의 연계 전시인 〈3
의 엑스제곱은 인피니티〉가 개최됐다.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이 주최한 이 전시는
한·중·일 세 나라의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고
동아시아 상호 문화의 이해와 교류를 촉진하
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열리는 ‘동아시아
문화도시’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올해는 인천
(한)·시안(중)·도시마(일)가 교류 도시로 선
정됐으며, 세 도시의 작가 16팀이 전시에 참
여했다. “어떤 것을 반복해 곱하면 무한에 이
른다”는 의미의 전시 제목에는 “세 나라의 시
각문화와 지역성을 보여주는 작품을 통해 상
호 이해를 높이고 화합을 도모하자”는 취지가
담겼다.
전시는 각 도시에서 또는 각 도시를 주제로 작
업을 전개해온 작가들을 한자리에 불러들였
다. 이들의 작품을 통해 세 도시의 미학적 시
선을 교차시켰다. 시안의 경우, 카톨릭교가
중국에서 수용돼온 과정을 들여다본 펑시앙
지에의 ‘카톨릭 프렌즈’ 시리즈와 시안 비림의
탁본을 소재로 삼아 인공지능 기술을 비판적
으로 다룬 아지아오의 ‘활자체’ 등 아홉 점을
소개했다. 도시마의 작가들은 구체적 현장보
다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였다. 모토히로 아야
카는 TV 만화영화 캐릭터가 등장하는 우주전

<아홉 개의 방, 미완의 집>이 지난 7월 4일
부터 26일까지 온그라운드 갤러리에서 열
렸다. 하나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축가와
건축주, 그리고 이를 기록한 사진작가가 함
께 만든 전시다. 전시의 주인공인 ‘아홉칸집’
은 화가 고경애와 그의 가족들(에이리가족)
이 사는 집으로, 네임리스 건축(나은중, 유소
래)이 설계했다.
경기도 광주의 산자락에 지어진 이 집은 전형
적인 주택과 모습을 거부한다. 내외부 모두 콘
크리트가 노출되어 있으며, 3×3칸의 형식으
로 총 아홉 개의 방으로 구성되며 방과 방은
복도 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
다. 화장실과 부엌을 제외한 나머지 방들은 의
도 없는 공간으로 건축주의 필요와 상황에 따
라 언제든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됐다. 이를 두고 남성택(한양대학교 교수)은
“아홉칸집은 콘크리트 폐허처럼 보인다. 그
러나 검소함 속에서 풍성한 삶의 예술이 가능
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면서, “세상을 등지
고 달팽이의 껍질 속으로 숨어든 것처럼 폐쇄
적으로 보일 수 있는 삶은, 실은 커튼이나 블
라인드가 전혀 없는 커다란 창문으로 침실, 욕
실 등의 은밀한 풍경까지 주변의 자연을 향해
여과 없이 노출될 만큼 개방적”(「SPACE(공
간)」 605호 참고)이라고 평한 바 있다.

From July 4 – 28, an exhibition entitled
‘3x=∞’, related to the ‘East Asia Culture
City 2019’, was on display in the Incheon
Art Platform.
Hosted by Incheon City and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this exhibi-
tion is part of the programme entitled
‘East Asia Culture City’, which has been
held yearly since 2014 in order to value
the cultural diversity enjoyed by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exchange
between East Asian cultures. This year,
Incheon, Xian, Toshima were selected as
the exchange cities, and 16 teams of art-
ists from the three cities participated in
this exhibition.
The exhibition brought together artists
who are from each corresponding city
or who have developed their work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r-
responding city. The aesthetic lines of
sight from the three cities are intersected
through the works of the assembled art-
ists. In the case of Xian, a total of nine
works were introduced, including a series

‘Unfinished House with Nine Rooms’ was
on show at the Onground Gallery from
July 4 – 26. The exhibition was a col-
laboration between an architect, client,
and a photographer who all documented
a build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exhibition, AeLe House with 9 Rooms is a
house for the painter AeGoe and her fam-
ily (AeLe family), designed by NAMELESS
Architecture.
Located at the foot of a mountain in
Gwangju, Gyeonggi-do, this house
rejects the appearance of a typical
house.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e is made of exposed concrete
with a total of nine rooms of 3×3 cells,
which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corridor. All of the rooms,
except for the bathroom and the kitchen,
are designed as a space without any spe-
cific functions so that they can be used
flexibly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client.
In this regard, ‘AeLe House with 9 Rooms
looks like a concrete ruin. However, it is a
work that reveals the possibility of an art

entitled Catholic Friends by Peng Xiangjie


  • which investigated the process of how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accepted
    in China – and a work entitled Typeface
    by aaajiao – which criticizes artificial intel-
    ligence based on the rubbings of Beilín,
    Xian. The artists of Toshima generated
    an imaginary world rather than a specific
    site. Motohiro Hayakawa erected a scene
    from a space battle entitled Reception
    Room where TV cartoon characters
    appear, and Mirai Mizue pictured a
    Dreamland with animations of geomet-
    ric figures that rise and fall. In the case
    of Incheon, a number of exhibits were
    unveiled, including an installation and
    video work entitled Moon on Saltern_Sido
    Incheon (Kim Sooninm) which was filmed
    at Si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the
    paintings of Jemulpo Club by Choi Young,
    and the photography work of Jung Jihyun
    entitled Reconstruction Site 1~3 that
    captured the physiology of the urban
    reconstruction site.
    by editorial team


of enriching life in frugal terms’, suggest-
ed Nam Sungtaeg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adding that ‘a life that looks
closed, as if hidden in the shell of a snail
retiring into oneself, is actually a large
window with no curtains or blinds, and is
open to exposing the intimate scene of
bedroom and bathroom to the surround-
ing nature without filtration’. (covered in
SPACE issue 605)
Through Roh Kyung’s photos, this exhibi-
tion expores not only the design process
of NAMELESS Architecture but also the
scenes from daily life that fill the house.
In addition, AeGoh’s paintings reflect the
feelings enjoyed throughout the spaces
of the house, communicating an experi-
ence of AeLe House with 9 Rooms.
by Park Semi

투 현장 ‘리셉션 룸’을, 미라이 미즈에는 기하
학적 형상이 상승·하강하는 애니메이션으로
꿈의 도시 ‘드림랜드’를 그려냈다. 인천은 인
천 옹진군의 섬 ‘시도’에서 진행된 설치·영상
작업 ‘염전의 달_인천 시도’(김순임), 홍예문
과 제물포구락부를 그린 최영의 회화, 도시 재
건축 현장의 생리를 사진으로 포착한 정지현
의 ‘재건축 현장 1~3’ 등을 선보였다.
편집부

이 전시에서 관객은 네임리스 건축의 설계 과
정뿐만 아니라 건축주의 일상이 집을 채워가
는 풍경을 노경의 사진을 통해서 보게 된다.
또한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누린 감각이 고스
란히 투영된 고경애의 그림을 통해 아홉칸집
을 경험할 수 있다.
박세미 기자

NEWS

<아홉 개의 방, 미완의 집> 전시 포스터
A poster for ‘Unfinished House with 9 Rooms’

Image courtesy of Onground Gallery

Image courtesy of Incheon Art Platform

<3x=∞> 전시 포스터
A poster for ‘3x=∞’

026

TheCrossingof


AestheticLinesof


Sight


Fillinginthe


UnfinishedBlanks


미학적시선의교차


미완의여백을


채워가다


7월 4일부터 28일까지 인천아트플랫폼에서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9’의 연계 전시인 〈3
의 엑스제곱은 인피니티〉가 개최됐다.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이 주최한 이 전시는
한·중·일 세 나라의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고
동아시아 상호 문화의 이해와 교류를 촉진하
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열리는 ‘동아시아
문화도시’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올해는 인천
(한)·시안(중)·도시마(일)가 교류 도시로 선
정됐으며, 세 도시의 작가 16팀이 전시에 참
여했다. “어떤 것을 반복해 곱하면 무한에 이
른다”는 의미의 전시 제목에는 “세 나라의 시
각문화와 지역성을 보여주는 작품을 통해 상
호 이해를 높이고 화합을 도모하자”는 취지가
담겼다.
전시는 각 도시에서 또는 각 도시를 주제로 작
업을 전개해온 작가들을 한자리에 불러들였
다. 이들의 작품을 통해 세 도시의 미학적 시
선을 교차시켰다. 시안의 경우, 카톨릭교가
중국에서 수용돼온 과정을 들여다본 펑시앙
지에의 ‘카톨릭 프렌즈’ 시리즈와 시안 비림의
탁본을 소재로 삼아 인공지능 기술을 비판적
으로 다룬 아지아오의 ‘활자체’ 등 아홉 점을
소개했다. 도시마의 작가들은 구체적 현장보
다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였다. 모토히로 아야
카는 TV 만화영화 캐릭터가 등장하는 우주전

<아홉개의 방, 미완의 집>이 지난 7월 4일
부터 26일까지 온그라운드 갤러리에서 열
렸다.하나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축가와
건축주,그리고 이를 기록한 사진작가가 함
께 만든 전시다. 전시의 주인공인 ‘아홉칸집’
은 화가 고경애와 그의 가족들(에이리가족)
이 사는 집으로, 네임리스 건축(나은중, 유소
래)이 설계했다.
경기도광주의 산자락에 지어진 이 집은 전형
적인 주택과모습을 거부한다. 내외부 모두 콘
크리트가노출되어 있으며, 3×3칸의 형식으
로 총 아홉 개의 방으로 구성되며 방과 방은
복도 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
다. 화장실과부엌을 제외한 나머지 방들은 의
도 없는 공간으로 건축주의 필요와 상황에 따
라 언제든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됐다. 이를 두고 남성택(한양대학교 교수)은
“아홉칸집은콘크리트 폐허처럼 보인다. 그
러나 검소함속에서 풍성한 삶의 예술이 가능
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면서, “세상을 등지
고 달팽이의껍질 속으로 숨어든 것처럼 폐쇄
적으로보일 수 있는 삶은, 실은 커튼이나 블
라인드가전혀 없는 커다란 창문으로 침실, 욕
실 등의 은밀한 풍경까지 주변의 자연을 향해
여과 없이 노출될 만큼 개방적”(「SPACE(공
간)」 605호참고)이라고 평한 바 있다.

From July 4 – 28, an exhibition entitled
‘3x=∞’, related to the ‘East Asia Culture
City 2019’, was on display in the Incheon
Art Platform.
Hosted by Incheon City and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this exhibi-
tion is part of the programme entitled
‘East Asia Culture City’, which has been
held yearly since 2014 in order to value
the cultural diversity enjoyed by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exchange
between East Asian cultures. This year,
Incheon, Xian, Toshima were selected as
the exchange cities, and 16 teams of art-
ists from the three cities participated in
this exhibition.
The exhibition brought together artists
who are from each corresponding city
or who have developed their work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r-
responding city. The aesthetic lines of
sight from the three cities are intersected
through the works of the assembled art-
ists. In the case of Xian, a total of nine
works were introduced, including a series

‘Unfinished House with Nine Rooms’ was
on show at the Onground Gallery from
July 4 – 26. The exhibition was a col-
laboration between an architect, client,
and a photographer who all documented
a build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exhibition, AeLe House with 9 Rooms is a
house for the painter AeGoe and her fam-
ily (AeLe family), designed by NAMELESS
Architecture.
Located at the foot of a mountain in
Gwangju, Gyeonggi-do, this house
rejects the appearance of a typical
house.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e is made of exposed concrete
with a total of nine rooms of 3×3 cells,
which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corridor. All of the rooms,
except for the bathroom and the kitchen,
are designed as a space without any spe-
cific functions so that they can be used
flexibly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client.
In this regard, ‘AeLe House with 9 Rooms
looks like a concrete ruin. However, it is a
work that reveals the possibility of an art

entitled Catholic Friends by Peng Xiangjie


  • which investigated the process of how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accepted
    in China – and a work entitled Typeface
    by aaajiao – which criticizes artificial intel-
    ligence based on the rubbings of Beilín,
    Xian. The artists of Toshima generated
    an imaginary world rather than a specific
    site. Motohiro Hayakawa erected a scene
    from a space battle entitled Reception
    Room where TV cartoon characters
    appear, and Mirai Mizue pictured a
    Dreamland with animations of geomet-
    ric figures that rise and fall. In the case
    of Incheon, a number of exhibits were
    unveiled, including an installation and
    video work entitled Moon on Saltern_Sido
    Incheon (Kim Sooninm) which was filmed
    at Si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the
    paintings of Jemulpo Club by Choi Young,
    and the photography work of Jung Jihyun
    entitled Reconstruction Site 1~3 that
    captured the physiology of the urban
    reconstruction site.
    by editorial team


of enriching life in frugal terms’, suggest-
ed Nam Sungtaeg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adding that ‘a life that looks
closed, as if hidden in the shell of a snail
retiring into oneself, is actually a large
window with no curtains or blinds, and is
open to exposing the intimate scene of
bedroom and bathroom to the surround-
ing nature without filtration’. (covered in
SPACE issue 605)
Through Roh Kyung’s photos, this exhibi-
tion expores not only the design process
of NAMELESS Architecture but also the
scenes from daily life that fill the house.
In addition, AeGoh’s paintings reflect the
feelings enjoyed throughout the spaces
of the house, communicating an experi-
ence of AeLe House with 9 Rooms.
by Park Semi

투 현장 ‘리셉션 룸’을, 미라이 미즈에는 기하
학적 형상이 상승·하강하는 애니메이션으로
꿈의 도시 ‘드림랜드’를 그려냈다. 인천은 인
천 옹진군의 섬 ‘시도’에서 진행된 설치·영상
작업 ‘염전의 달_인천 시도’(김순임), 홍예문
과 제물포구락부를 그린 최영의 회화, 도시 재
건축 현장의 생리를 사진으로 포착한 정지현
의 ‘재건축 현장 1~3’ 등을 선보였다.
편집부

이 전시에서 관객은 네임리스 건축의 설계 과
정뿐만 아니라 건축주의 일상이 집을 채워가
는 풍경을 노경의 사진을 통해서 보게 된다.
또한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누린 감각이 고스
란히 투영된 고경애의 그림을 통해 아홉칸집
을 경험할 수 있다.
박세미 기자

NEWS

<아홉개의방,미완의집>전시포스터
Aposterfor‘UnfinishedHousewith 9 Rooms’


Image courtesy of Onground Gallery

Image courtesy of Incheon Art Platform

<3x=∞> 전시 포스터
A poster for ‘3x=∞’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