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1 절 - 시 대 구








제 2 장 연구의 내용

제 1 절시대구분및주요이슈


제 2 절유선통신


제 3 절무선통신


제 4 절정보통신(ICT)


제 5 절체신및방송(TV/라디오)


제 1 절 시대구분 및 주요이슈

1. 전근대시대 (~1884)


가. 우역1)


우역제도는 487 년 신라시대(소지왕 9 년)에 설치한 고역전(尻驛典)과 경도역(京都驛)이


최초이며 신라 · 고려 · 조선시대에 공문서의 전달 관물의 운송 공무를 띤 출장관리의


숙박 편의 등을 위해 설치한 국가의 육상 통신 교통기관이다. 고려시대에 이르러 크게 정


비하여 전국 도로망을 22 도로 형성하고 이를 대·중·소의 3 로(路)로 구분하여 우역을 편


성ᆞ운영하였다고 한다. 조선 개국 뒤 역망(驛網)은 한양 경복궁 앞을 기점으로 개편되었


으나 고려시대 제도를 답습하여 중앙으로부터 각 지방에 이르는 30 리마다 도로에 설치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역을 관할하는 중앙기관은 병조이며 우역실무는 병조 산하의


승여사(乘輿司)가 맡아 하였다. 신라시대부터 시작된 우역제도는 우편제도가 도입된 1884


년(고종 21 년) 이후 존폐가 논의되어 1895 년 우체사(郵遞司)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1) 매일경제/정보통신 발당과정/1994.11.04.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