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1
절
-
시
대
구
분
및
주
요
이
슈
영상자료1.봉수와 파발
나. 봉수제도
우리나라에서 봉수제도가 국가기간통신망으로 확실하게 성립돼 이를 이용한 것은 고려 의종 3
년(1149년) 때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에 나라의 위급을 알리는데
봉화를 이용했으며 봉수요원의 배치 그들에 대한 보수 등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있다. 오늘날의
통신망과 비교하면 그 능률이나 효용성 등이 비교가 안될 정도로 원시적인 것이지만 당시에는
중요 통신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봉수제도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봉수제도는
그후 19 세기말에 폐지되기까지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이용돼 왔으며 울릉도의 주변 도서인 독도
와 제주도 남단 마라도에서는 전기통신이 이용되기 전인 최근까지도 봉화에 의한 통신이 이용되
기도 했다. 그러나 봉수제도는 나라의 위급을 알리는 등 군사용으로 주로 이용된 공공통신망이
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생활과는 그리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지 못했으며 따라서 국민생활에
통신망으로서의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다. 파발(擺撥)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