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1 절 - 시 대 구








바. 정보화의 시대


정부는 ‘산업화에 뒤졌지만 정보화에서 앞서 가자’라는 슬로건을 제시하며 정보화시


대 준비를 독려했다. 1994 년 12 월 23 일‘정보통신부’ 신설과 함께 정보통신산업의 기반


을 조성하며 정보통신기반의 고도화를 실현하기 위해 「정보화촉진기본법(1995)」을 제정


하고 1996 년 1 월 1 일부터 시행하였다. 이를 계기로 보급형 PC와 마이크로소프트 운용체계


(OS) '윈도우'가 등장하면서 컴퓨터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코스닥이 주류 증권시장으로 대


두된 가운데 많은 벤처기업이 등장했다. 2000 년대에는 통신방송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대


중화되었고 와이브로·DMB·디지털방송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분야의 기술개발이 본격


적으로 추진되었다. 정부는 IT 산업을 총체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IT839(2004년 2 월)'전략


을 제시하고 ▶ 8 대 서비스인 휴대인터넷 와이브로/ 위성지상파 DMB/ 홈네트워크 서비스


/ 텔레매틱스 서비스/ RFID 서비스/ WCDMA/ 지상파 DTV/ 인터넷 전화 ▶ 3 대 인프라인


광대역통합망(BcN)/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IPv6) ▶ 9 대


신성장동력인 차세대 이동통신기기/ 디지털TV·방송기기/ 홈네트워크 기기/ 텔레매틱스


기기/ 차세대PC/ 지능형로봇/ IT 시스템온칩(SoC)/ 임베디드SW/ 디지털 콘텐츠 등을 총체


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미래의 먹거리 전략을 세웠다.


사. 와이브로(WiBro)개발과 전자정부
정통부(現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05 년 2.3㎓ 대역 100 ㎒폭을 와이브로 용도로 지정하

고 57 ㎒폭(KT 30 ㎒폭·SK텔레콤 27 ㎒폭)을 '휴대인터넷' 용도로 할당했다. KT와 SK텔레콤


은 1 년간 준비 끝에 2006 년 6 월 서울에서 세계 최초 와이브로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전자정부의 지속적인 추진을 통해 공공부문 1 만 8434 개 정보시스템이 구축됐다. 온라인

서비스는 2008 년 1094 만 5000 건에서 2016 년 5870 만 9000 건으로 대폭 늘었다. 대국민 서비


스 편의성 제고 측면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정부·공공기관의 업무관리·재정·조달·관


세·국세 등 전 분야에 걸친 비즈니스 혁신이 이뤄졌다. 대한민국은 각국 전자정부 발전


정도를 평가하는 UN전자정부평가에서 2010 년 2012 년 그리고 2014 년에 1 위를 차지했다.


5. 스마트혁명의 시대 (2020~현재)


스마트폰을 위시로 한 스마트 기술의 성장으로 스마트 혁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이는 기


존 정보 혁명의 연장선상에 있으나 APPLE사의 iphone 등이 출시되며 모바일 기술의 급격한 발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