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 4 장_정보통신체신유물보존방안


1 절 - 역 사 보 존





정 책 방 안 연 구


제 4 장 정보통신체신 유물보존 방안

제 1 절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 2 절시사점


제 1 절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1. 보존·관리의 의의 및 필요성


우리나라 국민들은 우리나라가 정보기술(IT)강국이라는 데 긍지를 갖고 있다. 우리나


라 근대 최초 통신은 1885 년 9 월 서울 세종로에 한성전보총국(KT의 전신)이 개국하면서


시작됐으며 정보·통신·체신기술의 발전은 그 역사가 아주 깊다. 근대 우편제도를 비


롯하여 전화 등의 정보·통신·체신기술은 과학문명과 함께 끊임없이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렀으며 정보·통신·체신기술의 발달은 우리 사회를 크게 변화시켜 왔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근대 문화유산의 가치에 대해 재조명


되고 있으며 이들의 변화상이나 기록학적인 관점에서 이들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


한 정책방안 연구는 큰 의미를 갖는다. 이번 조사연구 과정에서 발견된 정보·통신·체


신 유물 보전 관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전기통신 근대 문화재로서의 정보·통신 유물 자료는 그 대부분을 KT가 보관,


관리하고 있다. 이는 전신·전화를 조선시대부터 정부가 직영하다가 81 년 한국전기통신공사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