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2 절 - 유 선 통 신
나. 한성전화소 전화업무 개시(1902년)
1902 년 3 월 한성-인천간 전화가 개설되고 한성전화소에서 전화업무를 개시함으로써 비
로소 일반인들도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과 개성 개성과
평양 서울과 수원 등 전화 통화권을 확대했다. 1905 년 4 월 대한제국의 통신사업권을 일본
에 빼앗기면서 전화 보급이 중단되었다. 1908 년 공전식방식 1935 년 자동식 방식이 도입되
는 등 우리나라의 전화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다. 국내 최초 국산전화기 생산(1962년)
식민지시대 도입된 일제전화기와 미군정기 도입된 미제전화기들이 주종을 이루던 우리
나라 전화기의 역사는 1962 년 체신 1 호 시리즈가 개발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된다.
자석식 공전식 자동식 3 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체신 1 호 전화기들은 국내에서 생산
된 최초의 국산 전화기로 그 의의가 매우 높다. 1973 년 체신 1 호를 개선한 체신 70 호 시리
즈가 개발되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전화기의 기본을 이루게 됐다. 이와 함께 1981 년
국가에서 보급하던 전화기의 구입 절차가 개인이 직접 구입하는 자급제로 바뀌면서 다양
하고 편리한 기능과 화려하고 개성화된 전화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80 년대 들어 전
자식교환기가 개통되면서 단순한 의사소통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편리한 다기능의
정보통신기기로 발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