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2 절 - 유 선 통 신


차. 광통신케이블


우리 나라에서는 1977 년 처음으로 광섬유 개발에 착수 1979 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중


심으로 산업체와 함께 공동합작으로 672 음성회선을 전송할 수 있는 0.1mm의 광섬유 제작


에 성공하였다. 첫 실용화시험은 같은 해 서울중앙전화국과 광화문 전화국 사이에 광섬유


케이블을 포설함으로써 마침내 우리 나라도 광통신시대의 막을 열었으며 1981 년에는 구로


전화국과 안양전화국 간 12km에 24 심의 광섬유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실용화 초기단계에


들어갔다. 그리고 1983 년에는 서울과 인천 간의 30km 및 당산과 화곡 전신전화국 간의


6km 구간에 광통신시스템이 포설됨으로써 상용화 단계가 시작되었다. 1998 년 광케이블


백본망과 케이블 TV 망을 사용한 두루넷이 최초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초


고속망 서비스는 점차 인터넷 방식으로 수렴되었다. 당시 광케이블 망 백본망은 한국전력


가스공사 도로공사와 같은 공공 인프라 사업자들에 의해 전력망 등과 함께 설치되었는데


이는 이후 광케이블을 이용한 초고속통신망 사업자의 다각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 뒤


광통신망의 확대는 계속되어 대륙간 광통신케이블이 놓여졌고 아파트 각 가구에까지 설치


되는 등 ‘정보 슈퍼고속도로(information superhighway)’ 실현이 진행되고 있다.


구분 년도 통신망/통신위성


전근대시대 ~1884 ⚫(1883)[일본]부산-나가사키 간 해전전선선로 설치


근대통신


도입시대 1885~1945


⚫서울-인천 전신가설(1885)


- 서로전신선(1885)/남로전신선(1888)/북로전신선


(1891)


⚫무장하 선로


⚫가공나선로


재건 및


개발성장


시대


1946~1979


⚫PEF절연케이블 개발(1970)


⚫ 1975 년 경부간 동축케이블 건설 및 개통


⚫광통신케이블(1979)개발


<표2-8>시대별선로및전송의발전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