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3 절 - 무 선 통 신


정부 각료의 차량에 설치하고 선택호출장치는 서울중앙전화국에 설치하였다. 차량 통행


중에도 가입자 상호간 일반가입자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1961 년 8 월 15 일에 인


천. 의정부 등지에 있는 가입자와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가입무선전화 업무가


개시되었다.


라. 도서무선통신의 확충


1970 년에 상주인구 500 명 이상의 도서에 통신망을 구성하여 도서의 통신수요를 해소하


고 문화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당 도서 203 개 중 무선시설이 없는 124 개 도서를 대상으


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통신망의 구성 방법은 VHF UHF RRTS 등의 무선시설과 실선으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1975 년에는 인구 200 명 이상의 도서에도 통신망 구성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였고 1976 년에는 인구 50 명 이상 도서에도 전화시설을 가성하였다.


마. 주요 도시간 무선회선의 구성


유선회선 고장시 주요 도시 간 통신 소통의 원활을 기하기 위한 대비책으로 서울·강릉


(1945. 12. 1.) 서울·춘천(1953. 12. 7.) 대전·청주 서울·청주(1954. 4. 15.) 서울·광주 서


울·대구 서울·대전(1956. 4. 1.) 서울·대전 부산·광주(1957. 2. 22.) 간에 각각 고정무선


회선을 구성하였다. 멀리 떨어져 있는 도시와 도서간의 무선시설로서 1950 년에 ICA자금으


로 10 개 도서에 75W 단파송신기를 설치하여 도서무선전신 10 회선을 구성하였다.


바. 해안국의 재편성


고정통신과 선박무선통신을 운용하는 6 개 해안국(항행 중인 선박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육지에 개설한 무선국)의 재편성을 위하여 기기 및 설치용 자료를 구입 시설하였다. 미국


ICA 자금에 의한 시설 이외에 1956 년 이후의 ICА 자금과 자체 자금으로 무선시설을 확장


하여 1961 년 5 월 15 일 현재 해안무선업무 취급국은 6 개국으로서 국내 선박은 물론 외국


선박과도 교신을 하였으며 국내 고정통신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사. 해안무선전화


1961 년 이후 해안무선시설에는 사실상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각 해안국마다 중파 중단파


및 단파시설을 등을 갖추고 있었는데 제 2 차 5 개년 계획 기간 중 중파시설 22 대와 단파시


설 25 대가 증설되었다. 항해중인 선박과 육지간의 통신은 중파 및 단파대에 의한 무선전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