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3 절 - 무 선 통 신


신 전화로 교신된다. 그러나 항내에 정박 중인 선박은 긴급 시 이외에는 중파 또는 단파


주파수대에 이한 전파 발사가 국제적으로 금지되고 다만 VHF대에 의한 통신만이 허용되


고 있다.


아. 마이크로웨이브(M/W)도입 및 시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도시 상호간의 통신수요는 급증하였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시외회선의 공급 문제가 점차 심각해져 갔다. 이에 정부는 경제적 기술적 양면에서 가장


유효하고 보다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 결과 다중 통신망시설이 가능한 장


거리 기간망을 구성함에 있어 유선 반송시설보다 마이크로웨이브시설이 회선량이나 건설


비로 보아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통신사업 5 개년계획으로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 시설에


의한 장거리회선의 증설계획을 수립하였다. 1968 년 12 월 20 일에 무선장비로서는 1 개 RF장


비에 600 가입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장거리전송용 최신형 장비가 개통되었다. 1967


년에 도입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무선장치는 MW-108C장비로 주파수대역을 6GHz 최대
음성급 회선용량은 600 회선으로 전국 루트에 176 대를 설치하였다.

자. 아마추어 무선통신의 발전
우리 나라에서 아마추어 무선전파가 나가기 시작한 것은 1930 년대 초였으며 이때의 호
출부호는 J8AA-J8OZ로서 일본의 호출부호였다. 광복 후에는 주한미군들이 군 아마추어
무선시스템(Military Affiliate Radio System MARS)의 장비를 사용하여 우리 나라의 호출부
호인 HL로 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하였다. 우리 나라 최초의 아마추어 무선국은 1959 년 2 월
3 일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 허가된 HL9TA열이었다. 1960 년 8 월 1 일에는 이동무선국
HM9A가 허가됨과 동시에 HL9TA는 HMOHQ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8 월 27 일에는 개인
국으로서 HM1AA HM1AB 등 10 여개 국이 허가되었다. 현재의 한국아마추어무선의 호출부
호는 1982 년 1 월 1 일부터 모두 HL열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아마추어무
선통신은 무선기술의 발달을 촉진하여 단파에 의한 원거리 통신의 개발 비상재해시의 통
신 남극기지와의 통신 등에 활용되었고 1986 년 아시안 게임과 1988 년 서울올림픽 때에는
이동무선국을 개설·운영하여 대회의 성공에 기여하였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Korean
Amateur Radio League KARL)은 1955 년 4 월 20 일에 설립되어 1957 년 4 월 18 일에 체신부
(지금의 과기정통부)의 인가를 받았다. 이 연맹은 정당한 아무추어무선통신과 실험을 장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