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3 절 - 무 선 통 신


이동통신 기술(WCDMA)이 2006 년 상용화됐으며 2009 년 이를 확장한 고속 패킷 통신규


격 HSDPA기술로 본격적인 스마트폰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음성과 문자는 기본이고 영상


통화와 인터넷도 빠른 속도로 가능해졌다. 물리적 키패드 화면에서 터치 방식으로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에서 전기를 이용한 정전식 방식으로 진화했다. 메신저 SNS 게임 등 스마


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 산업이 점차 태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3) 4 세대 (4G 2011~2018)


이동통신 기술인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가 2011 년 7 월 상용화됐다. 3G보다

수십 배 빨라진 4G LTE 시대는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 동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


을 만큼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면서 동영상 서비스나 모바일 쇼핑 등이 크게 유행했


고 스마트폰 앱 기반의 경제가 본격적으로 구축되기 시작됐다. LTE를 통해 위성방송 불가


지역에서도 끊김 없는 TV 시청이 가능해졌고 LTE 기반 차량 관제 서비스 등이 이루어졌


다. 사물인터넷(IoT) 기술도 LTE 시대에 등장한 개념이다.


4) 5 세대 (5G 2018~)
이동통신 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을 핵심으로 이동통신 기술의 새장을 열었

다. 스마트폰에서의 초고화질 실시간 영상 재생은 물론 VR/AR 기술 사물인터넷(IoT)스마


트시티 자율주행 자동차(스마트카) 등 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삼성전자는


초기의 모토롤라 노키아를 넘어 전 세계 모바일폰 기기시장을 주도하였고 2019 년 과학기


술정보통신부 통신 3 사와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따라 5G기술을 적용한 갤럭시S10은 5G


통신이 가능한 세계 최초 스마트폰이었다. 한편 1988 년 784 대에 불과했던 개통 휴대폰 수


는 1991 년 10 만 대를 돌파했고 2010 년엔 국민 한 사람당 한 대꼴인 5 천만 대를 넘어섰다.


2020 년 6 월 기준 국내 이동전화 가입회선이 약 6963 만 개 스마트폰 회선은 약 5182 만개에


달한다.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