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3 절 - 무 선 통 신


였을 뿐 아니라 전세계적인 망으로 확대함으로써 세계통신망화에 기여하였다. 양 지구국


의 개통은 위성통신이란 광대역전송로를 확보케 함으로써 기존 국제통신 서비스의 신속


화·고품질화 등은 물론 TV중계 고속도 데이터전송 등의 신서비스의 개발 및 다양화 각


종 정보유통의 신속·원활로 인한 부가가치 생산에 크게 공헌하게 되었다. 한일간 OH통


신간선 제 1 지구국 제 2 지구국을 개통하여 명실상부한 세계 통신망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마. 통신위성의 발사


무궁화 위성은 한국의 위성통신과 위성방송사업을 담당하기 위해 발사된 통신위성이다.


무궁화 위성사업은 한국통신(현 KT)이 1989 년 정부로부터 국내 위성사업자로 지정받아 이


듬해인 1990 년 7 월 2 일 위성사업단을 발족하면서 시작되었다. 참고로 국내 한국항공우주


연구원에서 개발/제작한 아리랑 위성 시리즈나 천리안 위성 시리즈와는 달리 무궁화 위성


시리즈는 프랑스/이탈리아 소재 기업인 ‘탈레스-알레니아 스페이스’사에서 개발/제작을


하였다.


1) 무궁화 1 호(KOREASAT 1)


1995 년 8 월 5 일 미국 플로리다의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장에서 맥도넬 더글러스 사의 델


타 II 7925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으며 10 년 4 개월간의 임무를 종료하고 폐기되었다. 무궁


화 1 호 위성의 발사로 우리나라는 최초로 국적통신위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2) 무궁화 2 호(KOREASAT 2)


1996 년 1 월 14 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1996 년 7 월부터 무궁화 1 호의 임무를 분담해


함께 운용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1996 년 7 월 1 일 무궁화 위성의 방송용 중계기를 이


용한 상용 방송이 개시되었다. 현재 홍콩에 임대 중이며 ABS-1A호라는 명칭으로 운영 중


이다.


3) 무궁화 3 호(KOREASAT 3)


무궁화 3 호는 1999 년 9 월 5 일 발사된 위성이다. 2000 년 수명이 끝난 무궁화 1 호를 대신


했다. 발사질량 2800kg 길이 19.2m의 대형위성으로 수명은 15 년이다. 한반도 지역에 대한


국한된 무궁화 1·2호와는 달리 가변 빔안테나를 이용 서비스를 동남아 지역까지 확대할


수 있다.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