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4 절 - 정 보 통 신


신은 일부 기존 업체에서는 서비스가 유지되고는 있으나 인터넷의 발달로 하이텔 서비스


는 2007 년 2 월 28 일에 완전히 종료되었다.


아. PC 등 정보통신기기의 발전


1) 컴퓨터의 도입 (1967)


1960 년대 후반 우리나라에 컴퓨터가 처음 도입되었다. 1967 년 4 월 경제 기획원(현 기획


재정부) 조사 통계국이 인구센서스 통계 처리를 위해 도입한 IBM 1401 이 최초이다. 미국에


서는 최초의 상용 컴퓨터인 유니벡(UNIVAC)이 1951 년에 등장해 1960 년대가 되면 대형 컴


퓨터가 연방 정부와 기업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이는 시기적으


로 상당히 뒤늦은 것이었다. 이어 같은 해 9 월에는 우리나라 전산실과 소프트웨어 센터의


효시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전자 계산실이 발족했다. KIST 전자 계산실은 컴퓨터 이


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했던 시기에 정부의 전산 프로젝트를 전담하였다.


2) 공공업무의 전산화


1970 년대 초에 이루어진 체신부의 서울시내 전신전화 요금업무 전산화와 문교부의 대학


입학 예비고사 채점 전산화는 KIST 전자 계산실이 담당했던 초기의 대표적인 컴퓨터 프로


젝트로서 중학교 무시험 추첨(1970) 서울·부산 간 외환 은행 온라인 뱅킹(1972) 등과 함


께 일반인에게 만능 기계라는 컴퓨터의 이미지를 심어 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70 년


대 들면서 정부와 공공 기관·교육 기관·기업의 컴퓨터 도입은 점차 증가했고 여러 대학


교에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관련 학과도 개설되었다. 그리하여 1970 년대 말까지 우리


나라에는 모두 400 대의 컴퓨터가 도입되었다.


3) 최초의 국산PC 개발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의 등장으로 컴퓨터가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에
서는 1970 년대 중반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초소형 컴퓨터가 등장했고 애플II 같
은 마이크로 컴퓨터가 10 만 대 이상 팔릴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었다. 마이크로컴퓨터
는 1981 년 IBM사가 IBM-PC를 출시한 이후부터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된다. 국내에서도 1977 년에 금성 전기와 KIST 수치 제어 연구실이 GS
COM80A라는 이름의 마이크로컴퓨터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상업화에는
실패하였다. 1981 년에 삼보 전자 엔지니어링이 출시한 애플II 호환 기종인 SE 8001 이 시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