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 August 2019

(Grace) #1
018 NEWS

우리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

Images courtesy of Doosan Art Center

(왼쪽) ‘포스트 아파트’ 공연 무대
(오른쪽) ‘포스트 아파트’ 공연 모습
(left) Performance stage of Post APT
(right) Performance view of Post APT

The Meaning of an
Apartment To Us

아파트는 한국의 대표적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부엌 위에 부엌이 있고, 문을 닫으면
우리 집이지만 문을 열면 이웃집이 보이는 아
파트 공간은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이 됐다. 많
은 사람들이 모여 살지만 고독사의 배경이 되
기도 하고, 가족과 혹은 개인이 휴식하는 공간
인 동시에 누군가에게는 투자의 대상에 지나
지 않는 등 오늘날 아파트가 가지는 의미는 다
양하다.
아파트를 향해 다각도의 질문을 던지는 공연
‘포스트 아파트’가 지난 6월 18일부터 7월 6
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 1111에서 열
렸다. 두산아트센터는 해당 공연을 ‘다원예
술’이라는 장르로 분류했다. 유형을 콕 집어
말하기 어려운 이유는 연극·무용·전시·강
연·영상 등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졌기 때문
일 것이다. 이번 공연은 네 명의 창작자가 1년
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공동으로 제작했다. 정
영두(두 댄스 씨어터 대표)가 연출과 안무를,
정이삭(동양대학교 교수)이 무대와 공간구성
을, 카입이 음향을, 백종관이 영상을 맡았다.
공연장 입구에는 차량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
어 입장할 때 아파트 단지 입구를 통과하는 기
분이 든다. 공연장인 스페이스 1111에 들어
서면 전시를 위한 미술관인지, 연극을 즐길 수
있는 극장인지 헷갈린다. 3단 높이의 계단식
좌석이 사방을 둘러싸고, 군데군데 노란 장판
의 평상, 베란다, 샤워부스가 놓여 있다. 한쪽
벽에는 아파트 관련 통계자료도 전시되어 있
다. 이곳에는 고정된 무대와 객석이 존재하지
않는다. 관객은 아무 곳이나 앉을 수 있고, 배
우 또한 공연장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연기
를 펼친다. 조명, 음향, 배우의 움직임에 따라
관객들도 계속해서 이동하며 공연을 즐긴다.
‘포스트 아파트’는 뚜렷한 서사 구조 없이 여
러 이야기를 산발적으로 진행한다. 두 사람이
평상과 베란다에서 인사를 나누고, 고독사 전
문 보험 상품을 소개하며,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된 이유가 불의 사용이라며 프로메테우스가

포스트 아파트
두산아트센터
다원예술

The apartment house has become rep-
resentative of residential types in Korea.
The space of the apartment house,
with a kitchen on the kitchen, which
has come to define my hous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o reveal the neigh-
bour’s house when the door is closed,
has become a familiar scene in Korea.
Today, the apartment house has various
meanings: it is home to many people,
but sometimes the background to one
living out one’s days and dying alone; a
resting place for family or for individuals,
and for others the prize of real estate
speculation.
Post APT a performance work asking
questions of this situation from various
angles was put on at the Doosan Art
Center Space 1111 from June 18 to July


  1. In the exhibition, it was categorised as
    a genre known as Interdisciplinary Art.
    It is difficult to pin down this field as it
    combines various genres such as drama,
    dance, exhibitions, lectures, and video
    work. This performance was co-produced
    by four creators after a year of prepara-
    tion. The performance was directed
    and choreographed by Jung Youngdoo
    (director, Korea Doo Dance Theater),
    stage and space design by Chung
    Isak (professor, Dongyang University),
    sound by Kayip, and video work by PAIK
    Jongkwan.
    A vehicle control barrier gat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erformance
    hall makes visitors feel as if are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Inside Space 1111, visitors
    become confused as to whether they are


등장한다. 새마을운동이 언급되고, 집 값 상
승 문제는 조선시대에도 있었다며 조선왕조
실록을 읊는다. 심지어 공연 중반부에는 정이
삭이 로마 선사시대부터 르 코르뷔지에를 거
쳐 현재 한국에 이르는 아파트의 기원을 강연
하기도 한다.
이번 공연은 아파트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말하지도, 아파트의 미래를 그리지도 않는
다. 오직 질문만을 던지며 답을 찾는 과정은
관객의 몫으로 남긴다. 우리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
최은화 기자

in an art gallery or a theatre. The space is
surrounded by a three-tier staircase, with
a low wooden bench covered with yellow
linoleum, a porch, and a shower booth.
One wall displays statistical data about
the apartments. There is no fixed stage
or seats here. The audience can sit any-
where and the actors perform movement
around the venue. Following the move-
ments of the lighting, sound and actors,
the audience keep moving to enjoy the
performance.
Post APT enacts several stories sporadi-
cally without a clear narrative structure.
Two actors greet each other on the low
wooden bench and porch, insurance
products tailored towards dying alone
are introduced, Prometheus appears
to argue that people began to live
together as they began to use fire. The
Saemaeul Movement is mentioned,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cited, claiming that the issue of rising
house prices can be dated back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per-
formance, Chung Isak delivers a lecture
on the origins of the apartment from the
Roman times to Le Corbusier through to
the Korea of today.
The performance does not determine
right from wrong with regards to the
contemporary apartment, nor imagine its
future. It only raises questions, and so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stays in the
hands of the audience. What does the
apartment mean to us?
by Choi Eunhwa

018 NEWS

우리에게아파트란


무엇인가


Images courtesy of Doosan Art Center

(왼쪽) ‘포스트 아파트’ 공연 무대
(오른쪽) ‘포스트 아파트’ 공연 모습
(left) Performance stage of Post APT
(right) Performance view of Post APT


The Meaning of an


Apartment To Us


아파트는 한국의 대표적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부엌 위에 부엌이 있고, 문을 닫으면
우리 집이지만 문을 열면 이웃집이 보이는 아
파트 공간은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이 됐다. 많
은 사람들이 모여 살지만 고독사의 배경이 되
기도 하고, 가족과 혹은 개인이 휴식하는 공간
인 동시에 누군가에게는 투자의 대상에 지나
지 않는 등 오늘날 아파트가 가지는 의미는 다
양하다.
아파트를 향해 다각도의 질문을 던지는 공연
‘포스트 아파트’가 지난 6월 18일부터 7월 6
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 1111에서 열
렸다. 두산아트센터는 해당 공연을 ‘다원예
술’이라는 장르로 분류했다. 유형을 콕 집어
말하기 어려운 이유는 연극·무용·전시·강
연·영상 등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졌기 때문
일 것이다. 이번 공연은 네 명의 창작자가 1년
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공동으로 제작했다. 정
영두(두 댄스 씨어터 대표)가 연출과 안무를,
정이삭(동양대학교 교수)이 무대와 공간구성
을, 카입이 음향을, 백종관이 영상을 맡았다.
공연장 입구에는 차량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
어 입장할 때 아파트 단지 입구를 통과하는 기
분이 든다. 공연장인 스페이스 1111에 들어
서면 전시를 위한 미술관인지, 연극을 즐길 수
있는 극장인지 헷갈린다. 3단 높이의 계단식
좌석이 사방을 둘러싸고, 군데군데 노란 장판
의 평상, 베란다, 샤워부스가 놓여 있다. 한쪽
벽에는 아파트 관련 통계자료도 전시되어 있
다. 이곳에는 고정된 무대와 객석이 존재하지
않는다. 관객은 아무 곳이나 앉을 수 있고, 배
우 또한 공연장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연기
를 펼친다. 조명, 음향, 배우의 움직임에 따라
관객들도 계속해서 이동하며 공연을 즐긴다.
‘포스트 아파트’는 뚜렷한 서사 구조 없이 여
러 이야기를 산발적으로 진행한다. 두 사람이
평상과 베란다에서 인사를 나누고, 고독사 전
문 보험 상품을 소개하며,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된 이유가 불의 사용이라며 프로메테우스가

포스트 아파트
두산아트센터
다원예술


The apartment house has become rep-
resentative of residential types in Korea.
The space of the apartment house,
with a kitchen on the kitchen, which
has come to define my hous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o reveal the neigh-
bour’s house when the door is closed,
has become a familiar scene in Korea.
Today, the apartment house has various
meanings: it is home to many people,
but sometimes the background to one
living out one’s days and dying alone; a
resting place for family or for individuals,
and for others the prize of real estate
speculation.
Post APT a performance work asking
questions of this situation from various
angles was put on at the Doosan Art
Center Space 1111 from June 18 to July


  1. In the exhibition, it was categorised as
    a genre known as Interdisciplinary Art.
    It is difficult to pin down this field as it
    combines various genres such as drama,
    dance, exhibitions, lectures, and video
    work. This performance was co-produced
    by four creators after a year of prepara-
    tion. The performance was directed
    and choreographed by Jung Youngdoo
    (director, Korea Doo Dance Theater),
    stage and space design by Chung
    Isak (professor, Dongyang University),
    sound by Kayip, and video work by PAIK
    Jongkwan.
    A vehicle control barrier gat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erformance
    hall makes visitors feel as if are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Inside Space 1111, visitors
    become confused as to whether they are


등장한다. 새마을운동이 언급되고, 집 값 상
승 문제는 조선시대에도 있었다며 조선왕조
실록을 읊는다. 심지어 공연 중반부에는 정이
삭이 로마 선사시대부터 르 코르뷔지에를 거
쳐 현재 한국에 이르는 아파트의 기원을 강연
하기도 한다.
이번 공연은 아파트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말하지도, 아파트의 미래를 그리지도 않는
다. 오직 질문만을 던지며 답을 찾는 과정은
관객의 몫으로 남긴다. 우리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
최은화 기자

in an art gallery or a theatre. The space is
surrounded by a three-tier staircase, with
a low wooden bench covered with yellow
linoleum, a porch, and a shower booth.
One wall displays statistical data about
the apartments. There is no fixed stage
or seats here. The audience can sit any-
where and the actors perform movement
around the venue. Following the move-
ments of the lighting, sound and actors,
the audience keep moving to enjoy the
performance.
Post APT enacts several stories sporadi-
cally without a clear narrative structure.
Two actors greet each other on the low
wooden bench and porch, insurance
products tailored towards dying alone
are introduced, Prometheus appears
to argue that people began to live
together as they began to use fire. The
Saemaeul Movement is mentioned,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cited, claiming that the issue of rising
house prices can be dated back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per-
formance, Chung Isak delivers a lecture
on the origins of the apartment from the
Roman times to Le Corbusier through to
the Korea of today.
The performance does not determine
right from wrong with regards to the
contemporary apartment, nor imagine its
future. It only raises questions, and so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stays in the
hands of the audience. What does the
apartment mean to us?
by Choi Eunhwa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