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1 절 - 시 대 구
분
및
주
요
이
슈
3. 재건 및 개발성장의 시대 (1946~1979)
가. ITU INTELSAT 가입
우리나라는 1952 년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 가입하였다. ITU는
UN 산하 기구로 유·무선 통신 전파 방송 위성 주파수 등에 대한 규칙 및 표준개발·보급
과 국제적인 조정·협력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기구로 당시 우리 정부와의 기술지원 프로
그램’을 통해 통신 분야 표준화활동을 주도하였다. 우리나라는 1952 년 ITU 가입 이후
1989 년 이사국 진출 연구반 부의장 진출(WTSC-93) RRB 위원 진출(PP-02)연구반 의장 진
출(WTSA-04) 전권회의 의장 수행(PP-14) TSB 국장 진출(PP-14)과 함께 다양한 기술 분야
에서의 연구과제책임자(Rapporteur) 수임 등 지속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1967 년 2 월 24 일 국제전기통신위성기구(INTELSA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atellite)에 56 번째로 가입하였는데 국제위성통신망은 스포츠 국제경
기 생중계 국제 통화 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개인적인 소통의 욕구 해소에서 국가 간 경
제활동 등에 많은 영향은 주었다. 이후 1970 년 국내외자 18 억원으로 충남 금산에 위성지
구국을 완공하고 6 월 2 일에 개통하였다. 이 지구국은 1969 년 5 월 발사되어 태평양 상공경
174 도의 적도 위에 정지한 INTELSAT III호 F4와 연결 미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과는 직
통으로 기타 지역은 미국과 홍콩을 중계로 교신하게 되어 전신 전화 텔렉스 및 사진전송
은 물론 TV중계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1980 년 11 월에 부산과 일본 하마다를 잇는
첫 동축 해저 케이블이 개통됐다. 한일간의 전화·텔릭스·전보·데이터·모사전송 등 각
종 통신을 수용하기 위한 길이 2 백80km의 해저케이블은 당시 울산∼하마다 간의 스캐터
(Scatter:대륙간수난파)통신 5 백회선에만 의존하던 것을 2 천 7 백회선으로 늘렸으며 마이크
로웨이브 통화때의 단절감도 없어지는 등 이를 통해 보다 펀리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