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1



-











도입된 지 100 년 동안에 이룬 성과를 모두 합한 것보다 크고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만


성적이고 고질화된 전화적체를 완전 해소하여 즉시 가설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이 시기 가


장 큰 숙제이고 꿈이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80 년대 들어 연평균 100 만회선의 대량공급


을 지속했다. 경영체제도 정부 직영에서 한국전기통신공사를 설립해 신축적이고 능동적


경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그 결과 1980 년말 전화시설은 280 만 회선이었으나 그 후 7 년간


3 배인 740 만 회선이 증설돼 1987 년 10 월 전화 1 천만 회선을 돌파했다. 이로써 한국은 세계


10 위권의 전화보유국으로 부상하고 1 가구 1 전화시대를 열게 됐다. 전화보급율도 1979 년도


의 인구 1 백명당 7.8대에서 1989 년에는 4.3배인 33.5대로 증가했다. 한편 급격하게 늘어나


는 전화 수요에 발맞춰 ETRI((현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한국형 시분할 전자교환기(Time
Division Exchange : 이하 TDX)를 개발하여 1986 년 3 월 14 일 상용화했으며 이를 통해 시내
통화권 광역화와 전 국토의 가입구역화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신청만 하면 즉시 가설해
주는 체제를 갖추게 됐다. 특히 광역자동화는 당시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
큼 과감하고 혁신적인 일로 평가된다.

나. 광통신시스템의 국산화
ETRI는 1978 년 9 월에 광통신시스템 국산화 개발을 목표로 광통신연구실을 설치해서 광섬유
를 이용한 초고속 디지털 전송기술 개발에 착수함으로서 우리나라가 1980 년대의 1 가구 1 전화시
대 2000 년대의 초고속인터넷 1 등국가로 도약하는 토대를 만들었다. 특히 세계 10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한국형 전전자교환기(TDX)는 1984 년 1 만회선 용량의 상용기 TDX-1을 시작으로 계속
성능과 용량이 개량돼 1989 년 6 월에는 설치 수 1 백만회선을 돌파했다. 1979 년 수동식 300 가입
자로 시작된 차량전화는 1984 년 3 월 3 천 회선의 자동식서비스를 제공해 1989 년에는 67500 회선
의 시설에 39718 가입자를 수용하게 됐다. 무선호출은 1982 년 1 만회선의 시설에 235 가입자로 시
작된 이래 1989 년 말에는 287000 회선의 시설에 198286 가입자를 수용하는 등 규모가 급속히 확
대됐다. 그러나 80 년대 후반부터 폭발하기 시작한 이동통신수요는 70 년대 유선전화 적체를 방
불케 함으로써 90 년대 내내 통신분야의 주요 현안과제로 대두됐다. 80 년대에는 이동통신 대중
화와 함께 전파자원의 개방정책이 싹트는 등 무선통신에 대한 오랜 장벽이 무너지기 시작했는
데 이는 86 아시안게임과 88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파 개방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는
것을 큰 이유로 들 수 있다. 천리안 하이텔 등 데이터통신의 도입으로 정보화사회의 싹을 틔운
것도 80 년대의 주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