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2 절 - 유 선 통 신
공중전화를 접속해 사용했다. 아직도 공중전화 하면 떠오르는 주황색 사각형 공중전화가
등장한 것은 1969 년의 일이다. 벽걸이용으로 '체신 1 호'라 불리는 것이다. 체신 1 호는 당시
가정용 전화가 많이 보급되지 않아 1977 년까지 서민의 통신수단으로 큰 역할을 했다. 1978
년엔 인상된 요금인 10 원짜리 주화 사용 벽걸이형으로 체신 1 호와 비슷한 외양의 '701-A'
가 설치됐다. '701-A'형은 그러나 다이얼 형으로 1979 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전자교환기
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1982 년 새로 개발된 것이 푸시-버튼식으로 개조한 '701-B'. 다이얼
형과 푸시-버튼 식이라는 차이 외 외양엔 큰 변화가 없었다.
다. 시내외 겸용 DDD (Direct Distance Dialing)
1982 년 강남고속터미널과 서울역에 시내외 겸용 DDD (Direct Distance Dialing) 공중전
화기의 현장 적용 시험이 있었고 1983 년부터 KT에서 본격 도입되었다. 이때까지 개발된
국내 공중전화기는 모두 시내 전용이었다. 당시로선 시내외 겸용 전화기 개발 기술이 없
었던 탓이다. 이 때문에 1978 년 일본제 다무라형 시내외 겸용 공중전화기의 부품을 조립
해 생산한 455 대를 주요 지역에 설치했다. 이후 1986 년 개발된 MS(자기)카드 공중전화기
1995 년부터 사용된 주화·카드겸용 전화기 1998 년부터 설치된 IC카드와 신용카드만을 사
용하는 IC카드 공중전화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라. 인터넷전화
2009 년 후반에 들어서면서 공중전화기는 ICT 기술로 인해 스마트해지며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멀티미디어형 교통카드형 전화기 및 세계 최초로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
는 영상공중전화기 메일. 인터넷 서비스 배너 광고 등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텔단말
기 음성 통화 인터넷 광고 서비스가 가능한 인터넷 공중전화가 출시되어 인천 국제공항
등에 설치 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