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2 절 - 유 선 통 신
다. 이에 따라 관련업체들과 함께 1981 년에서 1982 년 사이에 3 차 시험기를 개발해 다음해
인증시험을 거쳤다. 1984 년에 이르러 9600 회선 용량의 TDX-1 실용시험 모델을 개발 서대
전·유성전화국을 대상으로 한 실용시험 모델을 운영했는데 1 차 및 2 차에 걸친 인증시험
상용시험기 규정 제정을 했으며 1984 년 4 월 25 일 시범인증기를 개통하고 1986 년 3 월 14 일
상용화했다. 1987 년에는 ISDN기능이 부가된 대용량 전전자교환기 TDX-10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89 년에는 교환기의 상위구조 설계를 완료하고 1·2차 시험모델 교
환기를 구성해 하드웨어의 종합적 기능시험을 거쳐 상용화했다.
[TDX-10]은 국내에서 개발한 대형 디지털 전자교환기로 약 10 만 회선 용량에 이르는 것
으로 1990 년 이후 공중전화 교환망의 시내 가입자용으로 사용되었다. TDX-10 및 이후
TDX-10A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외국 교환기에 비해 성능·가격·기술면에서 열세였
다. 이에 따라 외국의 디지털 교환기에 비해 성능 및 가격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추며 앞
으로 초고속 광대역 차세대 교환기 이전의 중·저속 대용량 교환기를 확보하고 약 800 만
회선 규모의 반 전자교환기 대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국내 통신시장 보호는 물론 나아
가 세계시장 공략을 위해서 신형 교환기인 TDX-100교환기의 개발이 필요했다.
[TDX-100] 교환기는 대도시형 교환기로 한국통신(KT 전신)이 주관하고 대우 삼성 LG
연합체 한화정보통신(주)이 1995 년에 개발에 착수해 1999 년 10 월에 상용서비스를 시작했
다. 일반전화 20 만 PCS전화 50 만 시간 당 호처리능력 350 만에 이르는 교환능력을 갖춘 것
이다. 또한 음성 망 ISDN망 지능망 이동망 신호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며
ISDNPCS 차세대 지능망(AIN) 광 가입자 수용(IDLC) 통합망 관리(TMN)기능 등 유·무선 고
도통신 첨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TDX 특수용도교환기] TDX 교환기술을 기반으로 특수용도 교환기인 자동호분배장치
(TDX-ACD) 집단교환기(TDX-CPS)가 개발되었다. TDX-ACD 는 114 전화번호안내 증권안
내 700 ARS 서비스 등에 활용되었으며 이후 일명 삐삐 서비스인 페이징 시스템(TDX-PS)
이 개발되었다. TDX 개발 사업에서 확보된 교환기술 시스템 및 소프트 패키지 관리 기술
등은 우리나라 부호분할다중접속(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결정적 역할을 하
였다.
라.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