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2 절 - 유 선 통 신


구분 년도 교환기 사진자료 비고


공전식


교환기


(1908)


20 회선 공전식 교환기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비


치하던 축전지를 없애고 교


환국에 집중시켜 모든 가입


자가 필요로 하는 전원을


교환국에서 공급하는 방식


으로 개발


⚫ 1908 년 6 월 경성우체국에


우리나라 최초의 공전식교


환기가 설치


자동식


교환기


(1935)


⚫ 1935 년 3 월 국내 최초의


자동교환기가 개통 (나진우


편국의 SH(Siemens
Halske) 교환기로 400 회선
규모)

재건



개발


성장


시대


1 9 4 6


~


1979


EMD


자동식


교환기


(1960)


1957 년 서울중앙전화국


⚫ 1960 년 9 월 5 일 용산전화


국에 2000 회선 규모로 최초


개통


국산


EMD


자동식


교환기


(1965)


⚫ 1965 년 7 월 최초의 국산


화된 EMD 교환기 5000 회


선을 설치


⚫1960~70년대 국산화된


EMD 교환기는 대도시 ST


교환기는 중소도시에 설치


반전자


교환기


M10CN


(1977)


⚫ 1977 년 9 월 반전자교환기


의 도입(벨기에의 M10CN)


전자


교환기


(1979)


-


⚫ 1983 년 최초로 농어촌용


중소형 전전자교환기인


AXE-10도입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