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3 절 - 무 선 통 신
국전쟁이 나던 1950 년에 개통된 회선은 미국과 일본에 각각 전신 1 회선 전화회선은 미국
에 1 회선이었으나 1951 년 1.4후퇴와 더불어 전 회선이 중단되었으며 그해 1 월에는 미국과
일본의 전신회선을 다시 개통하였다. ICA자금에 의하여 일부 복구된 국제통신시설은 B-4
전화조정장치(VODAS)의 설치로 일반 가입자가 직접 국제전화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설비
를 갖추었고 전신전용수신기(DR-16)를 설치하여 고감도 수신과 고속통신이 가능한 시설
을 갖추었다. 1958 년 이후 국제통신은 복구 단계로부터 확장 단계로 들어서 급속도로 확
장되어 갔다. 1958 년에는 부평송신소와 광장수신소에 삼각형식 철탑 108 기를 건립하였다.
국제회선은 5.16군사정변 당시에 전신회선이 6 개 상대국(미국.일본.홍콩.필리핀.서독.대만)
에 10 회선 전화회선 역시 동일한 6 개 상대국에 10 회선이었고 사진전송회선은 2 개 상대국
(미국.일본)에 2 회선이었다.
나. 해저케이블
현재 전 세계 국제전화와 인터넷의 해외 연결망 트래픽의 약 90% 이상을 해저 광케이블
이 책임지고 있으며 국가 간 통신에 있어 해저케이블은 19 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초창기 해저케이블은 전신(전파나 전류를 이용해 부호 신호로 정보를
주고 받는) 이후에 전화나 팩스 등으로 이용되었지만 오늘날은 규모가 큰 전 세계의 네트
워크망을 담당하고 있다. 1980 년 한국 최초로 개통된 한·일 해저 동축케이블은 부산 송
정 - 일본 하마다의 153 km 구간에 부설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용 중이다. KT는 1980 년 국
내 최초의 국제 해저케이블인 한-일간 JKC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부산과 거제에 6 개의 해
저케이블을 운용하며 대한민국의 국제 통신 관문국13)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 제 1 위성통신지구국 건설
국제전기통신망의 양적인 확장과 질적인 향상을 위한 국제통신회선의 광대역전송로 확
보 계획의 제 1 단계로 한일간 OH통신간선이 1966 년 6 월 8 일에 개통됨으로써 한일간 통신의
전송로는 해결되었으나 기타 각 국가간 통신망에 대한 조치로는 위성통신의 도입에 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