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4 절 - 정 보 통 신
있어서는 1982 년 서울 대학교 컴퓨터 공학과와 구미의 한국 전자 기술 연구소에 있는 중
형 컴퓨터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을 구축한 것이 처
음이었다. 이듬해에는 한국 과학 기술원(KAIST)의 중형 컴퓨터가 SDN에 연결되어 통신망
을 갖추게 되었다. SDN은 오늘날 인터넷 프로토콜의 표준으로 자리 잡은 TCP/IP 방식을
채용했기 때문에 국내 인터넷의 시초로 평가된다. SDN은 1983 년에 네덜란드·미국과
UUCP(Unix to Unix Copy Protocol)로 연결되었고 1986 년에는 국내 인터넷이 처음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았으며 1987 년에 ‘.kr’ 도메인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함으로써 국제
인터넷에의 참여가 본격화 되었다.
5) PC통신과 초고속 인터넷
1980 년대 후반에는 인터넷 외에 전화선을 통해 접속하는 PC 통신이라는 온라인 서비스가 시
작되었다. 1984 년 데이콤의 한글 이메일로 시작한 서비스는 1986 년 최초의 PC 통신인 천리안으
로 이어졌고 1988 년 시작된 케텔(KETEL)은 이후 하이텔(HITEL)로 개편되면서 대표적인 PC 통신
서비스로 자리를 잡았다. PC 통신은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이전 시기에 온라인에서의 ‘동호
회’라는 개념을 정착시킨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이어 1990 년대 중반에는 대학교와 연구소에
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인터넷이 일반 회사와 가정에까지 보급되기 시작했다. 1994 년 6 월에
는 한국 PC 통신(하이텔)이 코넷(KORNET)이라는 인터넷 상용 접속 서비스를 최초로 시작했고
데이콤과 나우콤 등이 참여하였다. 1996 년에는 인터파크와 롯데 인터넷 백화점이 인터넷을 사용
하여 물품을 거래하는 전자 상거래(e-commerce)를 시작하였고 1998 년부터 두루넷·하나로 통
신·KT 등이 전용 케이블이나 전화선을 이용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002 년에는 초고속 인터넷에 가입한 가구가 1000 만을 돌파하였고 이러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의 증가는 PC방의 확산과 온라인 게임의 인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주식 거래 서비스
인터넷 뱅킹 서비스의 확산 등 산업의 정보화에 기여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했는데 1997 년 163 만 명에 불과했던 인터넷 사용자가 1998 년에는 310 만 명 1999 년에
1000 만 명을 돌파 하였고 2004 년 6 월에는 3000 만 명을 넘어서 인터넷 이용률이 70%를 돌파하였
다. 2005 년 1 월 정보통신부와 한국 인터넷 진흥원이 발표한 2004 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 조사 결
과를 보면 이용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1.7시간 동안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
목적은 자료·정보 검색 게임 이메일 오락 채팅·인스턴트메신저 쇼핑·예약의 순으로 조사되
었다.15) 한편 컴퓨터의 처리 능력이 지속적이고 비약적으로 향상함에 따라 용도 및 사용환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