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4 절 - 정 보 통 신
나택은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작고 좁은 '적색 LED 디스플레이'를 처음 탑재하여 당
시 혁신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휴대전화 디스플레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모토로라는 1 세대 아날로그 휴대전화 시장을 선도하게 된다.
2) 휴대폰의 대중화 (1992 노키아 1011)
1992 년 말 세계 최초 GSM 표준 대량 양산 모델 노키아 1011(Nokia 1011)이 출시되었다.
작은 LED 스크린과 벽돌디자인 시대를 마감하고 바(Bar) 디자인에 흑백 LCD 스크린 도입
하였고 단색 LCD로 전용 기호와 2 줄까지 8 자를 입력할 수 있었다. GSM은 유럽의 대표적
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TDMA를 기
본으로 하고 있었다. 이후 노키아는 모토로라와 2 세대 디지털 휴대전화 시장을 경쟁하게
된다.
3) 세계최초의 PDA (1993 애플 ‘뉴턴’)
1993 년 8 월 애플이 세계 최초 바 형태의 PDA(개인정보단말기) 개념을 담은 메시지 패드
‘뉴턴’을 출시한다. 336*240 흑백 반사형 LCD 스크린을 탑재하며 1998 년까지 스크린
크기를 480*320로 키웠고 그레이스케일+백라이트 기술이 적용됐다. 당시 비싼 가격과 기
술적 제약 때문에 성공하지 못하고 1998 년 단종 되었다.
4) 터치스크린 스마트폰 (1994 IBM ‘사이먼’)
1994 년 8 월 16 일 IBM은 전화 기능을 갖춘 최초의 PDA인‘IBM 사이먼(Simon Personal
Communicator)’을 출시하였다. 160*293 픽셀 CGA 흑백 백라이트 LCD 터치 스크린 기술
을 적용하였며 첫‘스마트폰’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전화 송수신 기능에 주소록 세계시
간 계산기 메모장 이메일 팩스 오락 기능이 포함되었다.
5) 아이폰의 등장과 기술혁신 (2007 애플 ‘아이폰’)
2007 년에 출시한 아이폰의 가장 혁신적인 요소는 터치-센서티브 멀티센서 접속이었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들이 손가락 끝으로 모든 프로그램과 전화 기능을 조종할 수 있
다. 또한 인터넷 검색 음악 및 동영상 재생 디지털 카메라 영상 메일 색인된 연락목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