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1



-











나. 통신사업 5 개년 계획


영상자료4.근현대통신의변천사


6·25 전쟁 이후 황폐화한 국내 통신기반을 재건하고 경제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 1962 년


부터 ‘통신사업 5 개년계획’이 시작된다. 이로써 자주적 개발성장의 의지를 실현하는 계기


가 마련되고 국내 통신기반이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통신사업 5 개년계획은 워낙


취약한 기반에서 시작된 데다 70 년대 경제규모의 확대와 함께 폭증한 전화 수요를 감당하기


에는 역부족이어서 4 차계획이 끝나갈 무렵인 70 년대 말까지도 통신시설의 절대적 부족을 면


치 못했다. 다른 경제사회 인프라와 균형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극도로 낙후된 통신인프라는


경제개발의 큰 장애로 대두됐다. 전화가입 희망자는 고액의 설비부담금을 납부하고도 청약


후 보통 3 개월에서 1 년까지 기다려야 했다. 따라서 당시의 통신정책은 ‘전화적체 누증 해


소’에 집중됐지만 1979 년말까지도 적체는 619165 건에 달했다. 통신시설의 절대적 부족과 함


께 낙후된 통신방식도 이 시기의 특징이었다. 자동식이 점차 늘어나기는 했으나 농어촌에서


는 아직도 공전식과 자석식 등 수동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수동식 전화시설은 1973 년 전체의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