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1 절 - 시 대 구
분
및
주
요
이
슈
30.1%를 정점으로 해마다 줄어들기는 했지만 1978 년말까지도 전체 전화시설 1997390 회선
중 14.6%인 292640 회선을 차지했다. 시외전화와 국제전화 등 장거리 통신시설도 절대량이
부족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등 낙후된 기술방식을 많이 사용해 원활한 장거리통화 소통이 어
려웠다. 시내전화망도 시·읍·면 단위로 구성돼 1970 년도에는 전국적으로 시내통화권이
1599 개에 달했다. 이 때문에 통화품질이 떨어지고 통화완료율은 시내 44% 시외 29%에 불과
했다.
다. TV방송의 시작
우리나라 텔레비전 방송은 1956 년부터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
‘대한방송’은 미국의 RCA사와 민간자본이 합작회사로 발족해 호출부호 'HLKZ'로 방송
했다. 세계에서 15 번째 아시아에서 4 번째로 TV방송을 시작한 ‘대한방송’은 TV가 보급
되기 힘든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이유와 1959 년 화재까지 겹쳐 1961 년 방송을 중단하게 되
었다. 1964 년 12 월 7 일 개국한 동양텔레비전방송국(DTV 우리나라 최초의 민영방송)은
1965 년 라디오서울(RSB)과 합병하여 중앙방송(JBS)이란 이름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선보
였다. 1969 년 8 월 8 일 MBC-TV가 개국했는데 MBC는 교육방송으로 허가를 받고 교육방송
위주의 편성을 하다가 1970 년 상업 방송을 선언하면서 오락 위주의 편성으로 전환하였으
며 KBS TBC 그리고 MBC의 방송 3 파전이 시작되었다. 1980 년 12 월 1 일부터 우리나라에서
컬러 TV 방송시대가 열렸다. 화려한 영상과 더불어 쇼와 드라마는 대형화되었고 뉴스쇼와
보도 프로그램들이 선보이며 텔레비전 저널리즘 시대를 이끌었다.
4. 정보통신강국 도약의 시대 (1980~2010)
가. 교환기의 국산화
1980 년대는 당시 통신분야 화두였던 전화적체를 해소하고 그 기반 위에서 이동통신과
데이터통신 등 첨단통신을 도입하며 정보화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기간전산망 사업에 착수
하는 등 일대 도약을 이루었다. 특히 80 년대 초반부터 중반에 이르는 짧은 기간동안 전화
적체를 완전히 해소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어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발전의
모델로 삼을 만큼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80 년대에 통신분야에서 이룩한 성과는 전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