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 4 장_정보통신체신유물보존방안


1 절 - 역 사 보 존





정 책 방 안 연 구


상이 더욱 두드러지는데 각종 정보통신 기기에는 금속과 함께 목재,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


이 부속품으로 함께 사용되었다. 또한 금속류는 다양한 철합금과 알루미늄과 같은 새로운 재질


이 사용되었고 다양한 종류의 합성 인공 재료인 플라스틱이 사용되었다.


3. 근대 정보통신 유물 보존의 효과


가. 정보통신체신 역사의 보존


박물관 등 체계적인 보존관리 시설이 있으면 충분히 보존처리하여 전시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 보존·관리방안이 있어야만 정보·통신·체신의 역사와 정신이 담긴 소


중한 자료들이 모이게 할 수 있다. 특히 정보·통신·체신 관련 대형 기기는 한 번 사라지


고 나면 복원하기가 매우 힘들어지므로 지금부터라도 역사 유물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은 보존에 각별한 관심을 두고, 아울러 가치를 부여할 만한 중요한 자료는 반드시 보존


관리를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나. 한국 정보통신·체신의 정체성 강화


정보·통신·체신박물관의 존재는 일반인들에게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체신의 가치


와 문화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정보·통신·체신인에게 자부심과 정체성


(identity)을 갖게 할 것이다. 정보·통신·체신의 중요성과 역사, 문화를 교육시킬 때 백마


디의 말보다는 한 번의 유물 견학이 우리나라 국민으로서의 긍지를 갖도록 하는데 결정적


인 역할을 할 것이다.


다.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


정보·통신·체신박물관은 특히 역사적인 사실이나 기기의 발전 정도와 같이 일반인들


이 쉽게 접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하여 견문을 넓히게 할 수 있다. 정보·통신·체신자료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정보·통신·체신자료를 접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보존 유물 자료가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체신이


걸어 온 역사를 더듬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현재의 모습을 볼 수 있고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