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 4 장_정보통신체신유물보존방안


2 절 - 시 사 점


제 2 절 시사점

금번 조사·연구는 인력과 예산부족으로 전국 각지에 산재하고 있는 근현대 정보·통


신·체신 유물의 실태를 충분히 조사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조사 결과 근대 정보·통신·


체신 유물 중 보호되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이며, 대부분 각종 정보·통신·체신 기기의


새로운 개발과 발전으로 인해 소멸, 철거, 훼손될 위기에 처해있음을 파악했으며 유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대한 논의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한다. 본 조사·


연구는 정보·통신·체신 유물의 보존과 박물관 건립에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진행되었다. 근현대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보


존과 활용을 위해 전문가들과 단체의 노력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지만 그 성과가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앞선 조사·연구통해 정보·통신·체신유물의 보존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한다.


1. 자료의 조사·수집


우리나라 정보통신 근대문화재로서의 유물자료는 그 대부분을 KT가 보전, 관리하고 있


다. 그러나 KT도 유물들을 보전 관리하는 전담부서(과거; 사료 관리부)가 구조조정으로 불


가피하게 없어지고 현재 많은 애로가 있다. 더욱이 정보통신 장비, 기술 동이 통신사업자,


제조업체에서 내용 연수가 지났거나 진부한 기술로 인식하여 폐기처분 되고 있다. 불용품


처리 규정에 의하여 폐기품으로 아주 헐값에 매도하거나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관련 기관, 기업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조사에서부터 개인소장자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전담 T/F팀 운영


일관성있고 전문적인 업무추진이 단계적으로 시행되지 않을 경우 업무의 중단이나 지연


과 같은 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다. 따라서 조직이나 업무환경의 변화 등 외부요인에 영향


을 덜 받고 업무추진을 전담할 수 있는 T/F팀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