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3 절 - 무 선 통 신


지향식 수신장치를 갖춘 수신소를 설치하여 송수신기를 중앙집중식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서울중앙우체국내에 중앙통신소를 개설하였다.


나. 광복 후 무선전신국


1945 년 10 월 1 일에 목포무선전신국과 연락을 개시하였고 1946 년 12 월 27 일에는 서울 제


주간의 무전통신이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강릉무선전신국은 1939 년 9 월 1 일에 업무 개시


를 한 후 해안업무에서 유선통신망의 예비회선으로 사용되었으며 1945 년 12 월 1 일에는 서


울과의 고정무선업무를 개시하였고 다음 해 4 월 1 일부터 해안업무도 재개하였다. 울릉무


선전신국도 1938 년 6 월 31 일에 수신소 청사가 준공되어 1939 년 2 월 11 일부터 업무를 개시


한 이래 1943 년 11 월 19 일에는 서울중앙전신국과 고정무선업무를 하였다.


다. VHF 스캣터(무선통신의 재건)


한국전쟁 당시 정부는 대부분의 통신시설을 국군과 UN군에 대여하였기 때문에 전기통


신은 무선으로서 많이 대체하였다. 최소한의 무선통신 소통을 위한 긴급조치로 송신기 27


대 수신기 42 대를 응급 수리하여 국제통신 및 국내 무선통신에 대처하였다. 초단파대에


의한 무선전화통신으로 해소하고자 1960 년 ICA원조로 무선시설 확장공사가 진행되었다.


장비로는 호출응답용으로 단일방식 초단파 송수신기(Simplex 60W VHF Transceiver) 5 대
와 통화용으로 양방향 초단파송수신기 4 대를 인천. 부산. 목포의 각 무선전신국에 설치하
였다. 한편 부대설비와 무지향성 VHF 송수신공중선 가설공사를 완공하여 항만 VHF 시설
이 처음으로 개통(1960)하였다. 한편 목포. 제주간 UHF스캣터 무선전화시설 설치공사를
ICA경제원조 부흥계획 26 만 5571 달러와 내자 254 만 4500 환을 투자하여 목포 양을산과 제주
시내에 초단파분실을 설치하게 되었다. 영국 마르코니회사가 공급한 1KW UHF 스캐너 송
신기 4 대 4 중 합성 수신기 4 대 직경 30 피트 파라볼릭(Parabolic) 공중선 4 면 및 전원시설을
각기 2 대씩 목포 양을산과 제주에 설치하였다.(1960) 1958 년에 ICA 경제부흥원조계획에 의
하여 서울에 이동가입무선전화 시설을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이 계획은 서울시내 일원
및 근교에 이동 중인 차량과 일반 전화가입자 또는 이동차량 상호간의 무선전화통화를 위
한 것이었다. 이동가입무선전화의 기지국 설치 장소로는 남산을 선정하였는데 1960 년 4.19
의거 이후 청사와 대지를 확보하여 시설의 설치공사가 착수되었다. 250W VHF 송수신기
2 대를 남산에 설치하였으며 가입이동차량용 단향(1way) 25W VHF 송수신기 20 대를 우선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