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4 절 - 정 보 통 신
의 기능을 갖고 있다. 아이폰은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수용할 수 있는 용
량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소프트웨어와 단순하고 매력적인 접속의 결합이었다. 처음 출시
후 1 년 만인 2008 년 애플은 아이폰 3 세대(3G) 무선기술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한 2 번째 버
전을 출시했으며 2009 년에는 아이폰3G S를 출시했다. 2014 년 9 월 전통적인 규격에서 벗어
난 5.5인치 화면을 탑재한 아이폰 6 플러스가 출시되었고 2016 년 9 월 출시된 아이폰 7 플러
스도 같은 크기의 대화면을 장착했다. 주요 기능은 PDA와 비슷했지만 쿼티(QWERTY) 키
보드를 완전히 대체한 운영체제 반응형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인터페이스를 갖춘 가장 현
대적인 스마트폰으로 꼽히고 있다. 최초의 아이폰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그래픽 배열(VGA)
로 구성되었으며 당시의 다른 전화보다 훨씬 높은 320*480의 해상도를 제공했다. 글로벌
휴대전화 시장은 이후 미니 컴퓨터로 빠르게 진화하기 시작했다. 윈도우와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OS)의 등장은 시각적 감각적 감성이 더해지며 터치 디스플레이 기술을 빠르게
바꿔놓았다.
6) 국내 스마트폰과 기술개발 (2008 삼성 ‘갤럭시S’)
삼성전자는 2010 년 구글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4 인치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아
몰레드·AM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를 출시하였다. 이
후 안정화된 안드로이드 OS의 발전에 힘입어 갤럭시S는 베젤리스 플렉서블 OLED로 다시
한 번 차별화에 성공하며 사실상 유일무이 했던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함께
양대 프리미엄폰으로 급성장하였다. 애플이 2017 년 9 월 아이폰 출시 10 주년 기념작 ‘아
이폰X’에 OLED 디스플레이를 처음 사용하면서 디스플레이 확장에 나서자 삼성은 2019
년 다시 한 번 세계 최초의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를 출시하며 강력한 혁신 브랜드로
발돋움하게 된다.
자. 세계 최초의 5G 상용화(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2019 년 4 월 3 일 이통 3 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동시에 5 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개통을 시작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전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한 국가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이미 2018 년 12 월부터 5G 전파를 송출한 데다가 기업 대상을 5G 단말기 서비
스를 시범 운영하는 등 상용화 준비가 끝난 상황이라 당초 예상보다 상용화가 앞당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