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5



-








근대 우편제도는 1884 년 홍영식이 우정총국을 설치하면서 도입됐었고 1898 년 전국에 임


시우체사를 설치하여 전국 우편망을 갖추었다. 1897 년에는 만국우편연합 총회에 대표를


파견하여 가입절차를 마치고 1900 년 1 월 1 일부터 국제우편업무를 개시하였다. 1900 년 3 월


23 일 농상공부 소속이었던 통신국을 통신원으로 개편하여 독립사업 관할청으로 창설·승


격시켜 우편망 확장 우표 및 엽서의 발행 등 각종 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1906


년 1 월 통신원을 폐지하고 통감부 관할에 통신관리국을 두고 식민통치 기반을 다지는데


이용하였다. 이후 조선총독부는 우편제도를 통치수단으로 활용하여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기 만주 및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하였다.


3) 체신관련 법제도 제개정 (1953)


광복 직후 미군정은 1946 년 4 월 8 일 체신국을 체신부로 과를 국으로 승격시키는 등 정


부기구를 개편하였다. 또 일제시기 법규를 폐기하고 체신관련 법류를 개정·제정하였다.


1949 년에는 일제 때부터 사용되어 오던 우편국을 우체국으로 개칭하기에 이른다. 1949 년


정부조직법이 제정되고 지방체신관서설치법이 공포됨과 함께 명칭이 우체국으로 변경


‘우편법’을 비롯한 관계법령이 제정되는 등 짧은 기간 내에 우편업무가 정상화되었다.


1950 년 한국전쟁으로 우편 기반시설이 대부분 잿더미가 되었으나 1953 년 휴전 후 우방국


의 원조로 복구사업을 시작 전국을 관할지역으로 하여 1 면 1 국의 원칙하에 우체국의 숫자


는 급속히 증가하였다. 광복 직후 1960 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경제개발이 추진되


면서 우체국과 우편물의 수가 대폭 증가하였다. 이에 대량 우편물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


하게 행선지로 배달하기 위한 방안으로 1970 년 7 월 1 일에 우편번호제가 처음으로 도입되


었다. 우편번호는 행선지의 구분을 편리성을 위해 우편물의 배달 우체국과 관할 지역을


숫자 코드화한 제도로 1988 년과 2015 년에 두 차례 개편되었다.


3) 문위우표 (1884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


개화파 홍영식이 중심이 되어 1884 년 4 월 우정총국이 설치되고 그 해 11 월 18 일 우정총국


이 업무를 시작하면서 발행한 문위우표가 우리나라의 첫 우표다. 문위우표란 당시 화폐단위


가 ‘문(文)’이어서 나중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우표는 원래 5 문 10 문 25 문 50 문 100 문짜리


등 모두 다섯 종을 일본 대장성 인쇄국에 의뢰해 인쇄하였는데 우정총국 개시 일까지 5 문 우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