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5
절
-
체
신
및
방
송
표와 10 문 우표 두 종만 도착하고 나머지는 갑신정변으로 우정총국이 폐쇄된 후에 도착되었
다. 때문에 25 문 50 문 100 문짜리 우표는 미발행우표로 분류된다. 대한민국 정부 이름의 첫 우
표는 1948 년 8 월 1 일에 발행된 ‘대한민국 우표’이다
4) 우체통 (1884)
대한민국의 우체통은 1884 년에 우정총국이 출범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1993 년에는 대
한민국에 5 만 7 천여 개가 있었지만 이후에는 점점 줄어들어 2006 년 말에는 27317 개로 집계
되었다. 1900 년대 전후의 한국의 우체통은 목조의 사각함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에 현
재와 같은 적색의 원형 우체통이 보급되었다. 일본에서는 우편제도 초기에 우체통이 흑색
이었으나 야간식별불가 등의 문제가 생겨 1901 년부터 눈에 잘 띄는 적색으로 바꾸게 되었
다고 한다. 광복 이후 우리나라는 적색은 유지하면서 녹색을 함께 칠하기도 했다. 이후에
대부분 사각형으로 교체되었다.
5) 전보 (1885)
1885 년 9 월 28 일 한성에서 인천 사이에 서로 전선이 개통되면서 전신(전보)업무가 시작
되었다. 전달 방식으로는 모스 부호를 통해 전보국의 해독에 따른 중계 방식이었다. 일반
우편을 통한 편지보다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서 전화가 보급되기 전에는 긴급 연락 수
단으로 이용되었다. 전보는 우체국에서 관할하지 않고 KT가 담당했는데 1990 년 ETRI에서
는 전보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KT에는 전담반도 있었다. 1960 년대의 전화 1980 년대
의 팩스 1990 년대 후반의 휴대 전화 인터넷 전자 우편에 가려져 긴급 연락에 이용되는 경
우가 줄어들었지만 긴급통신 대신에 경축/축하 전보 예약 전보 서비스 등으로 2021 년 현
재 관련업무를 유지하고 있다.
구분 년도 우편
전근대
시대 ~1883
⚫우역(郵驛)신라 소지왕(487년)
⚫파발
근대통신
도입시대 1884~1945
⚫ 1884 우정총국 창설
⚫ 1884 문위우표 발행
<표2-18>시대별 체신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