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5
절
-
체
신
및
방
송
등의 부품이 국산화됨에 따라 국내의 라디오생산은 점차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1966 년을 전후하여 이 수신기의 생산이 급격히 증가하여 심한 경쟁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원자재의 국산화비율은 수출용과 내수용을 합하여 1967 년에는 27.5%였으나 1968 년도부터
는 크게 개선되어 57.5%로 증가되었고 1970 년에는 70%로 다시 1971 년에는 90%를 초과할
정도로 급성장하였다. 한편 1966 년 동양방송의 FM방송을 계기로 해서 1966 년 금성사는 일
본의 히타치와 기술도입계약을 체결하고 1967 년부터 FM수신기 생산에 착수하였다. 또한
1960 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진공관식은 자취를 감추고 트랜지스터라디오만을 생산하게 되
었다. 1973 년에는 AM과 FM의 2 밴드 및 시계가 부착된 탁상용 라디오수신기를 생산하여
1974 년부터는 대량으로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1978 년 세계 라디오수신기 시장에 대한 미
국의 EIA(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 추정은 22 억 6000 달러인데 우리 나라의 생산실
적은 2.7%에 불과하였다. 선진국에서 수신기생산을 기술집약화하는 추세에 따라 우리 나
라에서도 1980 년대 초반에 FM 수신기를 IC화하였다. 그리고 1982 년부터 미국에서는 중파
를 이용한 원거리 AM스테레오방송이 시작되어 서비스를 다양화하는 추세였고 우리나라
도 새로운 방송방식의 연구가 미래에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신중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
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증가될 많은 정보처리의 한부분을 담당할 수 있는 새로운 방송
체제로 개편하게 되였다. AM스테레오는 인접국간 보호가 훨씬 더 보장된 미국에서 중파
를 이용하여 원거리까지 스테레오방송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FCC는 방식을 통일시켜 표준
방식을 선정하지 않고 1982 년에 제안된 모토로라(Motorola)방식·해리스(Harris)방식·카
한(Kahn)방식·마그네박스(Magnavox)방식·벨러(Belar)방식을 모두 허가하여 방송사업자
가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AM 스테레오방식의 설계에서도
모노 수신기와 양립성 유지 국제협약과의 조화 복사 제한과 입접 채널과의 혼신 보호비
스테레오 분리도 등의 4 개 사항으로 된 최소한의 기술 기준만을 제시하였다. 1883 년에는
국내 최초의 말하는 시계 라디오가 생산되었고 1985 년도에 들어와서는 AM방송을 좌우 채
널로 분리해 스테레오 효과를 내는 기술을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