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1



-











영상자료2.조선,전화와만나다


한편 서울과 인천간에 가설된 전화는 일본군 장교를 살해한 죄로 사형을 기다리던


백범 김구선생의 목숨을 아슬아슬한 순간에 구해낸 일화도 있고 순종은 선왕인 고종


의 능(금곡 홍릉)에 전화를 설치하고 아침저녁으로 ‘전화곡(電話哭)’을 올려 훗날


전화가 인간생활 양식을 변화시킬 것임을 예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20 세기의 시작인


1900 년부터 1910 년의 경술국치를 거쳐 1945 년 해방되기까지 근 반세기 동안 정보통


신은 외세의 침략과 식민통치에 철저히 이용된다. 1901 년 4 월에는 일본이 6 개 항목


의 전신특권을 요구하고 1902 년에는 일본인이 무단으로 전화를 가설하는 일이 계속


됐으며 1905 년 통신주권을 일제에게 빼앗기게 된다. 나라를 강탈하기 이전에 통신주


권부터 접수한 것은 통치수단으로서 통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1906 년 당시 전화가


입자는 총 2362 명이었는데 그 중 일본인이 2229 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한국인


101 명 기타 외국인 32 명 등이었다. 한편3) 1910 년 9 월 우리나라 최초의 군함이었던


광제호(光濟號)와 인천 월미도 무선국간의 통신이 이뤄지면서 무선전신이 우리나라


3) 전자신문 ‘김영근(한국통신문화재단KT과학관장)의 정보통신 문화산책. 02.09.28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