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1 절 - 시 대 구
분
및
주
요
이
슈
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한일합방 이후 일본의 대륙침략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
성·목포·제주·부산·청진·원산·나진무선국 등이 건설되었는데 1920 년대 들어
일본에서 자본주의가 발전함에 따라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체제를 급속히 확립하
는 과정에서 일본 상사와 회사가 한반도에 진출함에 따라 종래의 통신시설로는 통신
량의 증가를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설의 확충이 필요했던 것이다. 또한 1919 년
3·1 독립운동으로 통신시설이 크게 파괴되어 통신시설의 확장이 요구되고 1922 년 3
월에 체결된 산동철병조약으로 시베리아 출정군과 직접통신이 불필요하게 되자 일
본은 경성육군무선전신소를 경성우편국 용산전신분실로 개편하고 우리나라에서 최
초로 일반공중무선전신사무를 취급하였다. 아울러 선박의 안전운항과 일반 공중통신
을 위한 무선시설 외에도 일제는 항공사업이 발달함에 따라 항공무선시설 방향탐지
기 및 항공무선표식을 위한 무선시설도 설치하였다. 즉 한·일·만간의 정기항공로
가 개설됨에 따라 경성과 울산을 비롯해 신의주·대구·청전·함흥·평양·강릉·
울릉도·추풍령·광주 등에 항공무선국을 설치하였으며 지역조건에 따라 방향탐지
기와 무선표지도 설치하였다. 이밖에 어업용 무선시설과 선박무선시설 등도 함께 운
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