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1 절 - 시 대 구








2019 년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했다. 2017 년 12 월에 세계 최초로


‘5G 글로벌 표준 기반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였으며 ITU에 국내 강점기술을 반영했고


2018 년 5G 후보기술을 제안한 뒤 2019 년도에 5G 상용화에 성공했다. 서울 등 수도권과 일


부 광역시 등 주요 도시 인구 밀집 지역에서 3.5㎓ 5G 주파수 대역과 롱텀에벌루션(LTE)


네트워크를 융합하는 논스탠드얼론(NSA) 방식의 5G 서비스를 개시했다. 한편 5 세대 이동


통신(5G)기술과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산업뿐만 아니라 국가시스템 사회 삶 전반의 혁신적 변화가 일어나는 가운데 정


부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4 차산업혁명위원회를 2017 년 9 월 출범시켰으며 이를 통해 4 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총체적 변화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전략과 정책에 관한 사


항을 심의하고 부처간 정책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 6G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 대 중점 분야 10 대 전략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 플라잉카 드론 등 이동 중인 비행체와 해


상·재난 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


하고 6G 국제표준화를 위해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확보를 위해 정부는 R&D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맵을 패키지로 지원하기로 했다. 6G 국제 표준 일정에 따라 오는 2025 년에


검증용 5G 위성 1 기를 발사하고 2027 년에는 실증용 5G 위성 3 기를 띄울 계획이다. 아울러


2029 년에는 실증용 상용화 전 6G(Pre 6G) 위성 3 기를 발사하고 2031 년에는 실증용 6G 위


성 7 기를 발사할 예정이다. 총 4 단계로 14 기의 위성을 쏘아 올린다는 계획이다.


구분(년도) 시대 개요 주요 ISSUE


전근대시대


(~1885)


[조선시대 및 이전]


무전원 도구에 의한


정보 전달


1422 년 조선 봉수(烽燧)제도 확립(세종 4


년)


1882 년 상운(尙澐)전화기 전래


1884 년 우정총국(郵征總局)창설


<표2-1>시대별주요이슈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