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제 2 장_연구의내용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1



-











구분(년도) 시대 개요 주요 ISSUE


근대통신도입


시대


(1885~1945)


[일제 식민지 시대]


·신문명의 도입


·정보통신 주권 침탈


1885 년 한성·제물포간 최초 전신 개통


1896 년 전후 궁중과 정부 각 아문(부처)에


자석식전화 가설


1905 년 통신주권 일제에 침탈 당함


재건 및


개발성장 시대


(1946~1979)


[해방 및 개발도상]


·전쟁 이후 국내 통신


기반의 재건


·개발시대 성장을 위


한 통신기반 구축


1948 년 8 월 대한민국 체신부를 발족


1962 년 ‘통신사업 5 개년계획’시작


1962 년 체신 1 호 국산전화기 규격제정


1965 년 EMD교환기 국산화


해외통신망의 완비와 주파수 획득


전신전화용 물자의 수입과 필요 물


자의 국내생산 도모


전신전화 연구기관의 설치


전기통신의 일원화


정보


통신


강국


도약


시대


1980~


1989


[국산화 및 성장]


·전화적체 해소


·데이터통신기틀 마련


1982 년 한국전기통신공사(KTA)출범


1982 년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세계 10 번째로 전


전자교환기(TDX-1)개발 성공


1984 년 시외자동전화망 완성


1984 년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 출


범-본격적인 이동통신시대 개막


(차량전화와 무선호출서비스의 개


시).


1984 년 시외자동전화망 완성 하이텔나우


누리 유니텔 천리안 등 정보통신전


문사 PC데이터통신 서비스 시작


1984 년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 출


범-본격적인 이동통신시대를 개막


(차량전화와 무선호출서비스의 개


시).


1987 년 전국전화자동화 사업 완성 및 1 가


구 1 전화시대 개막


수동식 교환시설 전량 자동식으로


교체


교환기와 광통신시스템의 국산화


1990~


2002


[정보화사회 진입]


·이동전화와 무선호출


등 새로운 서비스의


1994 년 인터넷 상용서비스인 코넷


(KORNET)을 개시


1996 년 세계 최초로 CDMA방식의 디지털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