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1 절 - 시 대 구
분
및
주
요
이
슈
구분(년도) 시대 개요 주요 ISSUE
대중화
·멀티미디어데이터
통신망 고속화·고도화
·브로드밴드서비스
대중화
이동통신기술에 의한 상용서비스 제
공 시작
1997 년 10 월 개인휴대통신(PCS)서비스 시
작
1999 년 한국통신 주력 고속 인터넷 가입
자 회선으로 ADSL을 확정 상용서
비스 시작
1999 년 MegapassB&A(빌딩 및 아파트 용 초
고속 인터넷)제공
상용인터넷과 서비스망의 확대
무선인터넷 시대의 개막 3 세대 이동통신
위성통신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
2001 년 KTF출범과 이동전화 시장 확산
2002~
2010
[융합화]
·광대역통합망 구축
·융합기술 개발
⚫ 광대역통합망 구축
⚫ 3.5세대(G) 이동통신과 스마트폰 멀티
미디어 서비스
⚫ 유·무선 컨버전스
⚫ 공공부문 통신망 고도화
⚫ IPTV영상전화사물인터넷홈네트워크
등 다양한 융합서비스 시작
⚫ 교육의료교통 등 산업에 ICT융합
스마트
혁명
시대
2011~
2018
[개인화]
모바일 중심의
개인화 시대
⚫ 2011 년 kt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
⚫ 2014 년 세계 최초 UHDIPTV GiGA
Wire/UTP2상용화
⚫ 시대적 배경과 시장 및 제도의 변화
⚫ LTE 상용화 모바일 중심 시대 도래
⚫ 미래 ICT를 위한 필수 인프라 기가인
터넷
⚫ 국가 정보통신망 인프라 고도화
2019~
[지능화]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 정보통신의 융합 5G·초연결 시대
⚫ Beyond 1 기가(1Gbps)와 지능형 네트
워크
⚫ 코로나로 유발된 디지털 뉴딜의 시작
⚫ 미래를 위한 준비 ‘6G’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