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4 절 - 정 보 통 신
1) 인터넷의 시작 (1982)
우리나라 인터넷의 시작은 1982 년 7 월 서울대학교와 전자통신연구소(KIET)간에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 : 전산망의 한 종류)을 연결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1986
년 8 월 국가 도메인인 .kr을 루트DNS에 등록하게 되며 KAIST는 국내 최초로
‘KAIST.AC.KR’도메인을 등록하게 된다. 또 같은 해 KETEL 천리안 등의 PC통신 서비스
도 최초로 실시를 하게 된다.
2) 인터넷 산업의 태동
1990 년 3 월 KAIST와 하와이대학이 하나(HANA)망으로 연결되었고 1991 년에는 시스템 공
학연구소(SERI)가 미국 샌디애고 슈퍼컴 센터와 연결되었으며 1994 년 5 월에는 유럽의
‘EUROPANET’과 전용선이 연결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
었다. 1994 년 6 월 20 일 KT에 이어 같은 해 10 월 데이콤이 11 월에는 아이네트와 나우콤이
가세하며 ‘상용 ISP(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 서비스가 실시되었다. 전화회사였던 KT가
‘코넷’이란 이름으로 1994 년 6 월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코넷은 사업 초기의 낮은
속도와 비싼 요금을 기술발전과 경쟁활성화로 극복하여 인터넷을 대중들도 쉽게 이용 가능
하게 서비스하면서 대한민국 대표 통신 서비스로 발전시켰다.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7
월에 청와대 홈페이지가 오픈했고 1995 년에는 PC와 인터넷접속서비스가 개시됐으며 호스
트 수도 3 만 3 천개를 돌파했다. 인터넷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하면서 한국전산원과 정보통
신윤리위원회가 설립되었다.
3) 인터넷 산업의 성장
주로 이메일과 정보획득 수단으로만 활용되던 인터넷이 1996 년부터는 비즈니스의 도구
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전자상거래 컨소시엄이 결성됐으며 롯데백화점이 최초로 전자상거
래를 시작했다. 1997 년 한국인터넷협회가 설립됐으며 주식의 사이버거래도 최초로 이뤄지
기 시작했다. 인터넷 비즈니스가 급성장하자 1998 년 두루넷이 케이블모뎀 방식의 초고속인
터넷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작한 뒤 하나로통신(1999년 4 월)과 KT(1999년 6 월)도 뛰어들었다.
데이콤 드림라인 온세통신도 가세했다. 특히 1999 년 KT와 하나로의 시장진입 후 초고속인
터넷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는데 2003 년말 기준으로 가구 보급률이 무려 73%에 달했다.
OECD 국가 중 가구보급률 1 위(미국 21% 일본 20.3% 독일 10.3%)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