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체신 유물현황조사 정책연구_2021

(ksy) #1

정보·통신·체신관련유물현황조사및역사보존을위한정책방안연구 제^2 장_연구의내용


4 절 - 정 보 통 신


4) 포털의 등장


1999 년에는 인터넷 이용자수가 1 천만명을 돌파하는 등 인터넷 산업이 본격적인 성장을


이루기 시작했다. 닷컴붐이 불면서 다음 네이버 등 포털과 커뮤니티 업체들이 우후죽순 생


겨나며 바야흐로 인터넷 비즈니스의 전성시대를 예고했다. 인터넷 산업이 급성장하자 정통


부는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를 발족하며 국내 인터넷 산업의 동향과 연구를 맡기며


국제 인터넷 채널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2000 년에는 ‘묻지마 IT투자’의 풍조 속에 인터


넷 비즈니스는 더욱 큰 호황을 맞으며 고속행진을 이어갔다. 국내 인터넷 비즈니스 업체들


의 성장을 반영하듯 .kr 도메인수도 50 만개를 돌파했다. 2001 년 국내 인터넷 산업은 양과


질에서 비약적인 성장의 전환점을 맞는다. 인터넷의 등장으로 ‘knowhow’의 시대에서


‘know-where’의 시대가 된 것이다. KT 데이콤 등 상용ISP(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서비스


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1994 년 이후 메신저 블로그 아바타 얼짱 등 새로운 문화가 등장했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인터넷의 영향력도 엄청난 위력으로 증대됐다. 그 예가


바로 2002 년 월드컵 2003 년 대통령 선거 2004 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타났다. 포털 게임

등 10 조원에 이르는 디지털 콘텐츠 7 조원에 이르는 인터넷 쇼핑 등 인터넷과 연계된 다양


한 사업들도 연일 새롭게 등장하며 인터넷은 더욱 더 몸집을 키워가고 있다. 2009 년 6 월 국


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보고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가정 내 인터넷 보급률은 2000 년


49.8%으로 시작해 2001 년 63.2% 2002 년 70.2% 2005 년 74.8% 2006 년 78.4% 2009 년 80.6% 등


으로 나타나 해마다 증가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0 년 Strategy Analytics의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가정 내 인터넷 보급률은 95%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무선랜의 보급과 모바일
무선 LAN의 보급에 있어서는 스마트폰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검토가 이뤄지고 있

으며 2010 년 기준 대한민국의 무선 LAN 보급률은 세계 7 위(1위 미국 2 위 영국 3 위 프랑스


4 위 독일 5 위 중국 6 위 러시아)이다. 2010 년 말 대한민국의 무선 인터넷 보급률은 89.8%였


지만 스마트폰 보급이 급증하면서 무선 인터넷 보급률도 상승하였다. OECD 브로드밴드 통


계 보고서에 따르면 2011 년 12 월 기준 대한민국 초고속 무선 인터넷 보급률은 100.6%로


OECD 34 개국 가운데 1 위를 차지했다. 이는 OECD 국가 평균 보급률 54.3%에 비해 2 배 가


까이 높은 수준이었다.


6) 초고속 인터넷
Free downloa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