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_연구의 내용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4 절 - 정 보 통 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 년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수는 2293 만 명이고 인터넷
이용률은 91.9%에 달했다. 특히 10 대부터 40 대까지는 이용률이 100%에 달하였고 연령이
높고 소득이 적을수록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인터넷 이용률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클라우
드 서비스 기업인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한국 지사가 발표한 2014 년 3 분기 인터넷 현황
(The State of the Internet)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2014 년 3 분기 인터넷 평균 접속 속도
는 25.3Mbps로 전 세계 1 위를 차지했고 10Mbps 이상 초고속 인터넷 도입률도 81%로 전 세
계 1 위를 차지했다.
구분 년도 인터넷 기술 발전
전근대시대 ~1884
근대통신
도입시대 1885~1945
재건 및
개발성장 시대 1946~1979
정보통신
강국도약
시대
1980~1989
1G음성
⚫ 1982 인터넷 첫 연결
⚫ 1982 SDN개통
⚫ 1982 한국데이타통신 설립(현 데이콤)
⚫ 1984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설립
⚫ 1986 .kr루트DNS에 등록
⚫ 1986 KETEL천리안 등 PC통신 서비스 최초
실시
1990~2002
2G음성 문자
⚫ 1990 KAIST하와이대학 하나(HANA)망으로
연결
⚫ 1994 상용 ISP(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
⚫ 1996 최초로 전자상거래(롯데백화점)
⚫ 1998 두루넷:한전광케이블
⚫ 1999 ADSL서비스 개시
⚫ 1999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발족
네이버다음 발족
2002~2010
3G음성문자M
MS영상(저용
량)
⚫이동통신(3.5GWiBro)의 광대역화로 멀티
미디어 이용 활성화
⚫ 2002 VDSL서비스 개시
스마트혁명
시대
2011~2018
4G음성문자M
⚫ 2013 LTE-A상용화
⚫ 2014 광대역LTE-A상용화
<표2-16>시대별 인터넷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