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y
(ksy)
#1
정보·통신·체신 관련 유물 현황조사 및 역사보존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제^2 장_연구의 내용
5
절
-
체
신
및
방
송
기 보급을 위한 근본적인 타개책을 강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이중방송실시(한국어방송과
일본어방송)와 전국 방송망 확충계획이 추진되었다. 이중 방송실시 이후 방송시간도 1 일
16 시간으로 늘어났으며 수신기보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1933 년 말에 3 만 2000 여 대에서
1936 년에는 7 만 3000 여 대 또한 1937 년 말에는 11 만 2000 여 대를 보급하게 되었다. 기술발
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라디오수신기의 전원은 대형전지에서 가정용교류전원으로 대체되
었다. 또한 제 2 차 세계대전 중에는 진공관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고성능화·소형화
되었다. 그리하여 수신기도 소형화되어 전쟁 이후 다시 전지를 사용하는 휴대용라디오가
등장하게 되었다. 광복 당시 방송협회에서 판매보급하는 수신기로는 교류전용인 보급형 1
호 수신기(3구 UY56 UX12A KX12F)와 보급형 2 호 및 3 호 수신기가 있었다. 보급형 2 호는
제 1 호에 UZ·57관을 하나 더 쓴 4 구 라디오로서 중거리용으로 쓰이는 것이고 보급형 3 호
는 여기에 UZ·58관을 더 부가해서 제작한 것으로서 원거리용으로 보급되었다. 1945 년 8
월 15 일 현재 38 선 이남에 있는 우리 나라 사람이 소유한 수신기는 15 만 1817 대였고 이북
에 있는 우리 나라 사람이 소유한 수신기는 모두 7 만 6168 대로 우리 나라 사람이 가진 수
신기는 22 만 7985 대였다. 한편 방송국도 확대되어 1945 년에는 전국에 방송국이 17 개 소 그
리고 방송소가 3 개 소에 이르렀다.
다. 라디오 수신기(광복이후)17)
광복 당시의 중앙방송국이 미군정청의 감독을 받게 되면서 우리의 방송은 미국의 상업
방송적인 유형을 그대로 도입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북한으로부터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전기사정이 악화되어 방송청취가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지방방송
국은 방송을 중단하는 일도 적지 않았다. 이 무렵 수신기의 보수용 진공관·저항 및 콘덴
서 등이 크게 부족했기 때문에 진공관 하나만 못 쓰게 되어도 수신기를 사용하지 못하였
다. 수신기 진공관의 보급이 원활하지 못하자 방송협회는 월간 5000 개의 진공관을 재생할
수 있었던 재생공장에 역점을 두고 일본 와타(和田)진공관제작소와 기술제휴를 하여 재생
공정을 그대로 도입하는 등 생산설비체제를 갖추고자 하였다. 이어 조선전기산업주식회사
와 범아전자공업주식회사가 설립되어 미군용건전지를 개조하여 라디오수신기에 맞도록
재조립하였으며 라디오수신기 부품을 도입하여 수신기수리와 진공관재생을 하기도 하였
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췌 가공